친위대 ()

목차
관련 정보
친위대(1900년대 초)
친위대(1900년대 초)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 왕궁의 경비를 담당했던 중앙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 왕궁의 경비를 담당했던 중앙군.
내용

1895년(고종 32) 을미사변 때 일제가 민비시해에 훈련대를 동원하였다는 비난을 받게 되자 김홍집(金弘集) 내각이 훈련대를 해산하고, 이른바 육군편제강령을 반포하여 왕성 수비를 위한 중앙군으로 이를 설치하였다.

친위대는 1개 대대에 4개 중대를, 1개 중대에 3개 소대를 편제한 2개 대대를 두었는데, 1개 중대병력은 220인으로 총병력은 약 1,700인이었다. 이듬해 정월 공병(工兵)으로 편제된 친위 제3대대를 설치하였으나, 고종의 아관파천 등 국내정세가 불안해지자 3월에 제4·5대대를 추가로 배치하였다.

또한 공병대 등을 폐지하는 동시에 3개 대대를 합쳐 1개 연대로 만들었다. 4·5대대만으로는 1개 연대가 되지 못하자 이를 독립 대대로 두고, 이에 속하였던 마병대(馬兵隊)를 근대적인 기병대로 독립, 개편하였다.

고종 환궁 이후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 친위대도 증강하였는데, 1900년에는 친위연대에 다시 공병 1개 중대와 치중병(輜重兵) 1개 중대를 증설 배속하여 내실을 기하였다. 1902년에는 2개 연대로 증편되었다.

각 연대에 연대장 1인, 부관(副官) 1인, 무기주관(武器主管) 1인, 기관(旗官) 1인이, 각 대대에는 대대장 1인, 향관(餉官) 2인, 부관·정교(正校) 각 1인, 부교(副校) 3인이 소속되었다. 중대에는 중대장 1인, 소대장 4인, 정교·부교·참교(參校) 각 1인, 곡호대(曲號隊) 부교 1인이 소속되었다.

그러나 일제의 강압이 본격화됨으로써 목적한 큰 효과는 거두지 못하였다.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는 이 군제개혁의 명목 아래 1905년 군대 감축을 실시, 제1단계로 친위대를 폐지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순종실록』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육군본부, 1977)
『한말근대법령자료집』2(송병기 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