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읔’이라 읽는다. 국어의 자음 가운데 목젖으로 콧길을 막은 다음 혀뿌리〔舌根〕를 높여 연구개(軟口蓋)에 대고 입길을 막았다가 뗄 때에 목청을 울리지 않고 내되 거센 날숨을 띠고 나는 소리, 즉 연구개유기파열음(軟口蓋有氣破裂音)을 표기하는 데 쓰인다.
이 소리를 『훈민정음』(해례본) 제자해에서는 아음(牙音)의 차청음(次淸音)에 소속시켜 이 소리가 연구개유기음인 것을 보였으나, 음절의 말음(末音)으로 그칠 때에는 연구개에 댄 혀뿌리를 떼지 아니하여 ‘ㄱ’음과 같아지는 현상은 중세국어에서도 마찬가지여서, 이른바 팔종성법(八終聲法)에서 ‘ㅋ’은 제외되었다.
ㅋ음에 대하여 『훈민정음』(해례본)에서는, “ㅋ은 어금닛소리니 쾌(快)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ㅋ牙音如快字初發聲)”라고 설명하고, 『훈민정음』(국역본)에서는 “ㅋᄂᆞᆫ 엄쏘리니 快쾡ㆆ字ᄍᆞᆼ 처ᅀᅥᆷ 펴아나ᄂᆞᆫ 소리 ᄀᆞᄐᆞ니라.”라고 하여 ‘快’자의 한자음을 가지고 새로 만든 ‘ㅋ’자의 음가를 설명하였다. ‘ㅋ’자는 아음의 기본글자인 ‘ㄱ’자에다가 ‘ㄱ’자보다 소리가 세게 나온다고 하여 획을 더하는 방법〔加劃法〕을 써서 만들었다.
‘ㅋ’자의 이름은, 한글의 이름을 처음으로 기록한 『훈몽자회』(1527) 범례에서는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에 ‘ㅋ’자를 포함시켜 “ㅋ○箕(키)”라고 하였고 국문연구소의 「국문연구의정안(國文硏究議定案)」(1909)에서 ‘키읔’이라 정하였고,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통일안」(1933)에서도 ‘키읔’이라 정하여 이름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자모의 순서는 『훈민정음』에서 조음위치별로 ‘ㄱ ㅋ ㆁ’과 같이 하던 것을 『훈몽자회』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과 같이 고치고, 1751년의 『삼운성휘(三韻聲彙)』에 실려 있는 언자초중종성지도(諺字初中終聲之圖)에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ㅌ ㅋ ㅍ ㅎ’으로 고쳐, ㅌ과 ㅋ의 순서만 다를 뿐 거의 지금의 순서와 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