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지준절 ()

탁지준절
탁지준절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 왕실과 각 아문에서 소요되는 물자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관찬서. 왕실기록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왕실과 각 아문에서 소요되는 물자를 항목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관찬서. 왕실기록물.
개설

불분권 1책. 필사본. 편찬 연대는 미상이다.

왕실과 각 관청, 각 지방의 감영과 부·군·현 등의 소요 물자와 수급 계획에 필요한 각종 물품의 규격·용량·절가(折價) 등이 기재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편찬/발간 경위

1749년(영조 25) 각 관아의 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국가경비 지출에 관한 일종의 예규를 만든 「탁지정례(度支定例)」와 같은 의도에서 작성된 책이다.

내용

이 책의 체재는 필단릉초견(匹緞綾綃絹)·주저목포면(紬苧木布綿)·복대건의상(袱岱巾衣裳)·각색사견(各色絲繭)·색도(色綯)·지지(紙地)·필묵(筆墨)·석자(席子)·칠물(柒物)·염물종(染物種)·피물(皮物)·모렵(毛鬣)·아각(牙角)·주옥보석(珠玉寶石)·채색(彩色)·당약재(唐藥材)·향약재(鄕藥材)·당병과다고(唐餠果茶膏)·금은(金銀)·철사(鐵絲)·동랍(銅鑞)·철물(鐵物)·목물(木物)·목유기(木柳器)·초물(草物)·죽물(竹物)·반사기(盤沙器)·와전(瓦甎)·회석토(灰石土)·축물(畜物)·육물(肉物)·어물(魚物)·곤곽용표속(昆藿茸票屬)·채소(菜蔬)·과물(果物)·곡물(穀物)·숙조작말(熟造作末)·유청밀(油淸蜜)·염장주초(鹽醬酒醋)·잡종무역(雜種貿易)·제촉용지(祭燭龍脂)·화혜(靴鞋)·관대(冠帶)·향공복색(鄕工服色)·제복(祭服)·연견배복색(輦牽陪服色)·수별예라복색(守別隷羅服色)·장료(匠料)·능원묘물종(陵園墓物種)·선화자(扇花子)·관학유생역지(官學儒生役只)·관무재상격목(觀武才賞格木)·전내배설(殿內排設)·성기물종(成器物種)·제향식(祭享式)·봉심식(奉審式)·잡록(雜錄) 등 모두 60항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가운데 지지에는 회감(會減), 석자에는 수리계(修理契), 염물종에는 마련개염(磨鍊改染), 동랍에는 취련(吹練)·타주(打鑄), 철물에는 타주·친국시소용(親鞫時所用)·정철수철(正鐵水鐵), 장료에는 성역료(城役料) 등의 항목이 부기되어 있다. 그 밖에도 각 항목 아래 세부 조항을 설정, 구체적으로 소요되는 물자를 분류하고 그것의 절가를 명기하였다.

특히 잡록은 앞서의 큰 항목에서 제외된 사항을 80여 개 항목으로 세분해 놓았다. 잡록의 패선증열미(敗船拯劣米)에서는 세곡을 운반하는 조운선(漕運船)이 난파되었을 경우 물에 빠졌다가 건져낸 증미(拯米)의 작전가(作錢價)를 기록해 두고, 조운선이 난파되었을 때 난파된 지역의 지방관과 부근 포구 인민의 책임과 조처 요령 및 난파선 선원의 처벌 문제, 고의로 난파시키거나 세곡미에 물을 섞는 행위에 대한 엄격한 치죄(治罪) 등에 대한 사항을 규정해 놓았다.

또한 양전규식(量田規式) 항에서는 전결(田結)의 분류와 면적 및 사용하는 자의 길이를 적었다. 양전척 1척은 포백척(布帛尺) 2척 1촌 2분 6리, 주척(周尺) 4척 7촌 7분 5리가 된다 하며, 제언(堤堰)에는 포백척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전삼세출부(田三稅出賦)항에서는 삼수미(三手米) 등의 세액을 각 지방별로 분류해 놓았다. 선가식(船價式)항에는 각 지역의 조창(漕倉)에서 서울로 운반되는 조운선의 운임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토전(土田) 항은 유정전(有正田)·속전(續田)·화전(火田) 등 세액을 수취하는 전결과 관둔전(官屯田)·제전(祭田)·학전(學田)·각궁방전(各宮房田) 등 면세전결의 면적과 결수 산정방식 등을 실었다. 그 밖에도 세미 대신 화폐나 면포로 대납(代納)할 때 이를 환산하는 작전작목식(作錢作木式) 등의 항도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 말기 국가재정의 실태와 운용 및 부세체제의 구조를 엿볼 수 있는 책으로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가진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