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권 3책. 목판본. 1924년 종질 석(㙽)과 제자 권상익(權相翊)이 간행하였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제1책에 부(賦) 1편, 시 190여수, 서(書) 22편, 제2책에 책(策) 2편, 논(論) 2편, 변(辨) 5편, 설(說) 1편, 서(序) 9편, 기(記) 7편, 발(跋) 7편, 상량문, 제문, 제3책에 가장, 유사, 저자의 연보·유사·행장·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는 은거하는 생활 속에서 주위의 자연경관을 연작의 형식으로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정전론(井田論)」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왕조들의 정전제와 여러 기록에 나타난 정전제의 내용을 살피고, 이를 주관하는 자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교육을 통한 교화로써 시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남당심정도변(南塘心情圖辨)」은 한원진(韓元震)의 사람과 물(物)의 성(性)이 다르다는 설에 대하여 반박한 것으로, 저자가 낙론(洛論) 계열의 학자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서(序) 6편은 주로 태백산에 은거하던 때 저술한 『효경외전(孝經外傳)』·『사자전서(四子全書)』·『동화일반(東華一斑)』 등의 서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