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광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광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3권 1책. 석인본. 1964년 7대 손 용걸(龍杰)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규철(曺圭喆)의 서문이, 권말에 손석원(孫錫遠)·용걸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본집 권1·2에 시 15수, 부(賦) 1편, 소(疏) 3편, 서(書) 19편, 제문 4편, 부록으로 만사 4수, 제문 5편, 가장·행장·묘갈 각 1편, 증유(贈遺) 36수, 초문(抄文) 3편, 외고(外稿) 1권은 서·기(記)·녹(錄)·송별제현·교유록(交遊錄)·서간왕복인명(書簡往復人名)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개 명승지를 유람하고 감회를 읊은 것으로, 웅장, 호방하고 간혹 기아, 절묘함이 있다는 평을 받는다. 「등망양정(登望洋亭)」·「등소공대(登召公臺)」·「등경포대(登鏡浦臺)」·「등사선대(登四仙臺)」 등이 대표작이라 할 만하다.

소의 「변신옥소(卞辛獄疏)」는 1722년 삼남의 유생 이덕표 등과 함께 올린 것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죽음에 관련되어 사사(賜死)된 희빈장씨(禧嬪張氏)의 죽음은 반대당의 조작이라고 주장하면서 어머니의 원수를 갚고 원혼을 위로해 주어야 자식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라고 주청한 내용이다.

「척후사소(斥喉司疏)」에서는 환관과 시녀 중 간당의 탐정이 많다고 지적하여 그들을 제거한 뒤 만기(萬機)를 직접 처리할 것을 청하였다. 외고의 「북정록(北征錄)」은 명천에 귀양 가는 도중의 거리, 산천의 형세, 일어난 일 등을 소상하게 기록한 일기이다.

이 밖에 스승 조덕린에게 학문하는 방법을 질의한 「상조옥천선생덕린(上趙玉川先生德隣)」이 있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