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보요전 ()

목차
관련 정보
택보요전
택보요전
주생활
문헌
조선후기 학자 노한용이 양택을 정하는 요령을 모아 정리한 지리서. 풍수지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노한용이 양택을 정하는 요령을 모아 정리한 지리서. 풍수지리서.
내용

1권 1책. 1930년 신태형(申泰亨)이 교열하여 간행하였다. 원래 지리풍수설은 대부분 중국 사람들이 지은 것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그것을 원용하여 음택과 양택을 정하였다. 음택에 관한 저서는 많지만 양택에 관한 저서는 중국에서도 그리 흔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학자들이 그 진수를 파악하기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저자는 13년의 세월을 소비하여 양택에 관한 서적을 수집, 정리하고 직접 체험한 뒤 그 요점을 뽑아 이 책을 편저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문이 있다.

이어서 양택나반설(陽宅羅盤說)·총론집합(總論集合)·회도전설(繪圖全說)·연운합결(年運合訣)·조문총요(造門總要)·혼문비지(婚門秘旨)·장문비지(葬門秘旨)·농문비지(農門秘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택나반설>은 양택을 지을 때 터를 정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나침판을 보는 요령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길흉을 제시하고 있다.

<총론집합>은 정택기수장단(精宅氣數長短)·간수(間數)·주조(廚造)·장고(醬庫)·좌우랑간수(左右廊間數)·생왕동용사(生旺動用砂)·장면장광(牆面長廣)·수도출구(水道出口)·장원(場垣)·삼소문척수(三所門尺數)·색문(塞門)·종수(種樹)·기목(忌木)·화암(火庵)·중수기속(重修氣續)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회도전철>에서는 정택간척 등 3개의 도면과 방위해설 등 22개 도면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연운합결>에서는 조명연운(造命年運)·명좌운(命坐運)·포태운(胞胎運)·원사신우(院祠神宇)·건조운(建造運)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조문총요>에서는 사지간합동(四支干合同)·월가왕상요안(月家旺相要安)·금부(金符)·지간생왕(支干生旺)·축월길일(逐月吉日)·정초(定礎)·개기(開基)·개옥(蓋屋)·작문(作門)·색문·작칙(作則)·천정(穿井)·마방(馬枋)·우란(牛欄)·이거(移居)·분합가산(分合家産)·기도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혼문비지>는 남혼·여가기·여명행가(女命行嫁)·축월통용(逐月通用)·납징·납채·백기(百忌)·재의(裁衣)·귀근(歸勤)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으며, <장문비지>는 안장(安葬)·복덕(福德)·오산(五山)·육기응후(六氣應侯)·참파(斬破)·천장(遷葬)·입산(入山)·명좌기운(命坐忌運)·개장·파구묘(破舊墓)·개총(開塚)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또한, <농문비지>는 경종길일(耕種吉日)·초경기일(初耕忌日)·양잠잡기(養蠶雜忌)·초경(初耕)·작저권(作猪圈) 등으로 구분, 설명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