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반 ()

목차
관련 정보
통영반
통영반
공예
물품
경상남도 통영지방에서 제작, 생산되는 소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통영지방에서 제작, 생산되는 소반.
내용

표준치수 높이 25∼28㎝, 앞너비 38∼47㎝, 옆너비 28∼38㎝. 형(型)이 매우 실용적이고 튼튼하여 현대까지 각 가정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

원래 통영지방은 나전칠기(螺鈿漆器)로도 유서가 깊은 곳으로, 자개세공의 놀랄 만한 솜씨가 소반에도 미쳐 그 우수한 공작법을 자랑하고 있다.

통영반의 기본형태는 장방형의 단조로운 반면(盤面)과 별 장식 없는 원통형 네 다리의 곧은 형태다. 그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방형의 반면 네 모서리의 귀는 각(角)을 이루지 않고 부드러운 두 곡선으로 굴려 있다.

둘째, 반면은 매우 두꺼운 통나무로 되어 있으며 반 둘레의 전까지 연이어 조각되어 있다. 흔히 그 한가운데에 조구법(彫具法)을 이용하여 길상문(吉祥文) 또는 봉황(鳳凰)·쌍학(雙鶴)·천도문(天桃文) 등을 장식한다.

셋째, 원통형 다리가 반천판(盤天板)에서부터 내려와 있고, 초엽(草葉)이라는 난간(欄干)이 사각(四脚)을 기둥으로 끼고 있어 반에 힘을 받치고 있다.

이 초엽에는 당초(唐草)·모란(牡丹) 등의 문양이 돋을새김되어 있는데 이 초엽을 받쳐주는 상중대(上中帶)가 있고 바로 그 밑으로 5, 6㎝ 간격의 하중대(下中帶) 하나가 더 있어 매우 튼튼하게 고정된 감을 준다.

넷째, 반면에는 비교적 변함이 없고 다리도 단조로우나 간혹 죽절형(竹節形)·호족(虎足) 등의 변형이 보이는데 항상 곧은 선의 특징을 나타낸다.

다리의 변형은 중하부(中下部)에서 이루어지고 굵고 튼튼한 재료를 써서 일면 둔한 감을 주기도 한다. 초엽에는 간혹 돋을새김 대신 마대형(馬臺形)의 풍혈장식(風穴裝飾 : 가장자리로 돌아가면 잘게 새겨 붙이는 꾸밈새)을 한 것도 보인다.

반의 재료로는 나뭇결 무늬가 아름다운 느티나무·은행나무가 상품이며, 혹 피나무도 사용하고, 각재(脚材)는 소나무·느티나무 등을 사용한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목가구(木家具)』(박영규, 삼성출판사, 1982)
『이조목공가구(李朝木工家具)의 미(美)』(배만실, 보성문화사, 198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