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작용과 마찰작용을 함께 일으키기 때문에 파찰음 대신에 폐찰음(閉擦音)이라 부르기도 한다.
현대국어의 파찰음으로는 /ㅈ ㅉ ㅊ/ 세 가지뿐이다. 이들은 혓바닥의 일부분을 경구개(硬口蓋)에 대고 공기를 폐쇄시켰다가 혓바닥을 떼면서 마찰시켜 발음하는 구개음으로서의 파찰음인 것이다.
이들 파찰음은 어두나 어중에서의 음절초에서 ‘자다·짜다·차다’나 ‘손자·진짜·기차’ 등과 같이 쓰이지만 음절말 위치에서는 폐쇄음만이 실현되고 마찰음이나 파찰음은 실현되지 않아 표기와는 달리 쓰이지 않는다.
『훈민정음』에서는 이 /ㅈ ㅉ ㅊ/을 /ㅅ ㅆ (ㅿ)/과 함께 치음으로 분류하였는데, 15세기에 이 치음들은 구개음 〔 tʃ 〕 와는 달리 잇몸에 혓바닥의 앞부분을 대면서 마찰시키는 파찰음으로서의 〔 ts 〕 계열이었던 것이다.
이 치음 /ㅈ ㅉ ㅊ/이 대체로 17세기에 구개음으로 바뀌면서 이어서 구개음화현상을 맞이하게 되었다. 15세기에는 ‘초(tso)’와 ‘쵸(tszo)’가 구별되던 것이 치음의 구개음화 이후로는 동음이의어가 되고 말았고, 이어서 설음(舌音)이었던 /ㄷ ㄸ ㅌ/의 구개음화가 잇따라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대의 대부분 방언들에서는 /ㅈ ㅉ ㅊ/이 구개음의 파찰음으로 어두와 어중에서 실현되나 오직 서북방언(대체로 평안도방언)에서는 15세기의 중앙어에서처럼 치음(또는 치조음)으로 실현되었는데, 최근의 북한의 이른바 문화어에서는 구개음화된 파찰음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바디>바지, 같이>〔가치〕’ 등과 같은 구개음화로서의 음운변화에 의한 개신형(改新形)을 문화어로 삼은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