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림 ()

구비문학
문헌
조선 후기에, 편찬된 야사 총서.
이칭
이칭
대동패림(大東稗林)
문헌/고서
권책수
266
권수제
패림
표제
패림
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내용 요약

『패림』은 조선 후기에 편찬된 야사 총서다. 편자는 알 수 없다. 『패림』은 총 89종의 야사를 수록하였는데, 『대동패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작품은 18~19세기 야사 열독 및 야사 정리 열기에서 형성된 것으로, 특히 당쟁과 당론과 관련된 야사가 많다.

정의
조선 후기에, 편찬된 야사 총서.
서지사항

『패림』은 총 89종의 야사(野史)를 수록한 책이다. 『계갑록(癸甲錄)』과 『기재잡기(寄齋雜記)』 제4권 · 제5권 첫머리에 ‘대동패림(大東稗林)’이라는 기록이 있어서 『패림』을 『대동패림』으로 혼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패림』은 일본 세이카도 문고[靜嘉堂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주1과는 전혀 다른 책이다.

그렇지만 『패림』 편찬에 『대동패림』의 영향력은 컸다. 『패림』은 『대동패림』과 마찬가지로 정조에서부터 철종까지의 기사가 총서 전체의 40%를 차지한다는 점, 『대동패림』에 실린 문헌 53종 가운데 44종을 거의 재수록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그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림』과 『대동패림』 모두 김려(金鑢)주3주2으로 삼았다는 주장도 있다.

『패림』에 철종에 이르는 주4 기사가 실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책의 편찬 시기는 1860년대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편자가 누구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심노숭(沈魯崇) 집안과 친분이 두터운 경기 지역 노론(老論) 명문가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

구성 및 내용

1책에서부터 4책까지는 『정조기사』, 『순조기사』, 『헌종기사』, 『철종기사』가 실렸다. 5책의 『소문쇄록(謏聞鎖錄)』에서부터 10책의 『수서잡지(修書雜志)』까지 시대순으로 총 91종이 나란히 실렸다. 다른 어떤 야사집보다 많은 자료를 수록했다고 할 만하다. 또한 『패림』에는 이전의 『한고관외사』나 『대동패림』에 수록된 이야기를 수록하면서도 이들 책에 없는 새로운 작품들도 더했다.

『패림』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다른 야사집에서는 볼 수 없는 책들이 있다. 『농수유고초(農叟遺稿抄)』, 『수문록(隨聞錄)』, 『수서잡지(修書雜誌)』, 『순조기사(純祖記事)』, 『신임기년제요(辛壬紀年提要)』, 『안가노안(安家奴案)』, 『유재일기(留齋日記)』, 『철종기사(哲宗記事)』, 『헌종기사(憲宗記事)』, 이본 『정종기사(正宗記事)』, 이본 『순조기사』가 그러하다. ② 『패림』과 『대동패림』에는 실렸지만, 다른 야사집에서 볼 수 없는 책들도 있다. 『갑인록(甲寅錄)』, 『기축옥안(己丑獄案)』, 『나김왕복(羅金往復)』, 『동각산록(東閣散錄)』, 『양파연기(陽坡年記)』, 『지촌답문(芝村答問)』 등이 그러하다. ③ 『패림』에 수록된 야사집은 완본에 가까운 것이 많다. ④ 『정종기사』, 『순조기사』, 『헌종기사』, 『철종기사』 등 몇 책을 제외하면 본문의 주6 또는 그 끝에 주(註)가 달려 있는 것이 많다.

다른 야사집에 편찬된 책이 『패림』에 재수록된 것은 모두 67종이다. 이 중 『대동야승(大東野乘)』과 겹치는 것은 26종이고, 『한고관외사』와는 42종, 『대동패림』과는 44종이 겹친다. 상대적으로 『대동야승』과는 관련성이 낮은 반면 『대동패림』과는 관련성이 높다.

의의 및 평가

『패림』은 이전의 야사 총서인 『대동야승』, 『한고관외사』, 『대동패림』 등처럼 18~19세기 야사 열독 및 야사 정리 열기에서 형성된 총서의 하나로, 이들과 밀접한 관련을 보인다. 특히 『대동패림』과 『패림』은 이전과 달리 18~19세기 정치사와 관련한 야사의 비중을 높인 야사 총서라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다른 야사집들이 17세기 이전 야사에 주목한 반면, 조선 후기 야사에 집중한 것이 『패림』이 확장되는 가장 큰 주7이 되었다. 특히 당론과 당쟁사 관련 야사가 높다. 그 외에 일상이나 문학 관련 기사는 별도로 분화되어 향유되었다. 당시 역사와 문학의 경계를 좀 더 확고히 하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역주교감) 패림』(민속원, 2009)
안대회 편, 『대동패림』(국학자료원, 1991)
조윤제, 『패림』(탐구당, 1969)

단행본

김근수, 『야사총서(野史叢書)의 총체적 연구』(한국학연구소, 1976)
정형우, 『조선시대 서지사연구』(한국연구원, 1983)

논문

안대회, 「『패림(稗林)』과 조선후기 야사총서(野史叢書)의 발달」(『남명학연구』 20,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05)
윤호진, 「『패림(稗林)』의 구성과 그 가치」(『열상고전연연구』 22, 열상고전연구회, 2005)
주석
주1

조선 시대 야사(野史)의 총서. 유서(類書)인 ≪대동야승≫과 20종이 겹쳐 있으며, 정사(正史)를 보충하는 사료로 중요하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66권 10책. 우리말샘

주2

본보기가 되는 것.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의 학자 김려(金鑢)가 편찬한 야사(野史) 전집. ≪창가루외사(倉可樓外史)≫를 교정하고 필사하여 책 이름을 바꾼 것이다. 468권 200책. 우리말샘

주4

여러 대(代)의 임금의 시대. 우리말샘

주6

위쪽에 있는 난. 우리말샘

주7

어떤 사태를 일으키거나 변화시키는 데 작용하는 직접적인 원인.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