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리고분군은 1936년 조선고적연구회의 일본인 학자들에 의하여 조사, 발굴되었다. 무덤들은 도굴로 인해 많이 훼손되었으며 토사와 누수로 인해 벽화도 많이 손상된 상태였다.
이 고분군은 대성산에서 뻗어내린 산록 구릉지대의 낮은 경사면에 위치한 30여 기 가량의 무덤으로 이루어졌다. 골짜기를 가운데 두고 동·서의 두 무리로 나누어져 있는데, 동쪽 무리 가운데에는 사신도(四神圖) 계열의 벽화분으로 잘 알려진 ‘내리 제1호분’이 있다. 북쪽으로 인접한 토포리와 동북의 노산리에도 고구려시대 고분이 무리를 이루고 있다.
이 고분군 역시 다른 고구려시대 고분군과 같이 정상의 대분[大墳: 내리 제1·2호분]을 주분(主墳)으로 하여 그 앞에 작은 고분들이 줄지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내리 1호분의 분구는 방대형의 봉토분으로 동서 20m, 남북 24m, 높이는 4.5m로 대형급에 속한다. 무덤 내부는 널길[羨道]과 널방으로 이루어진 구조다. 널길은 널방 중앙에 위치하며 서남쪽을 향한다. 널길 입구에는 2짝으로 된 돌문을 달았다.
널방은 지상에 위치하는데 방형 평면으로 한 변 길이 3m, 높이는 3.3m이다.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을 하였다. 무덤 안에 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는데 벽화의 손상이 심하여 널방의 서벽과 남벽, 천장의 그림은 남아 있지 않다. 벽화는 사신을 내용으로 하며 동벽의 청룡과 북벽의 현무만 확인된다.
평행고임 1단에는 인동무늬[忍冬文]와 산악, 2단에는 해와 달, 연꽃무늬와 둥근무늬, 3단에는 인동무늬계 문양이 남아 있는데 인동무늬는 후기 사신도고분인 강서 중무덤과 유사하며 산악은 좀더 사실적인 모습을 띤다. 즉, 산기슭과 능선을 따라 그려진 나무는 다소 치졸하고 어색하지만 진파리 제1호분의 현무도에 표현된 산악과 나무의 비례보다 한결 자연스러워졌다.
또한 산기슭에서 봉우리로 올라갈수록 나무줄기가 가늘어지고 짧아져 원근 개념의 시도도 엿보인다. 이러한 표현 기법은 7세기 전반 산수화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내리 제2호분은 벽화가 그려지지 않은 돌방무덤[石室封土墳]이다. 무덤 내부는 널방과 널길로 이루어진 외방무덤[單室墓]이다. 널길은 널방 남벽 중앙에 나왔으며 남쪽을 향하고 있다. 널방은 길이 3.06m, 너비 2.5m, 높이 2.67m고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을 하였다.
내리고분군은 무덤의 구조나 벽화내용 등으로 미루어 볼 때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경에 만들어진 무덤군으로 편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