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역전 벽화 고분 ( )

고대사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이칭
이칭
평양역전쌍실묘, 평양역전2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중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인물풍속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개설

평양역전벽화고분은 1954년평양역 앞 도로에서 하수도공사를 하다가 발견되었다. 그 해 6월 23일부터 7월 5일까지 사회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문화유물보존위원회 등에서 조사하였다.

내용

봉분이 사라져 무덤 외형은 알 길이 없으나 작은 돌과 벽돌로 널방〔玄室〕을 축조하였다. 절반은 지하에 묻혀 있었는데 널방의 벽은 돌을, 바닥에는 벽돌을 깔았다.

남향인 이 무덤의 구조는 널길〔羨道〕, 앞방〔前室〕, 좌우의 감(龕), 널방, 통로, 뒷방〔後室〕으로 이루어진 쌍실묘(雙室墓)로서 ‘평양역전쌍실묘’로 불리기도 한다. 지하 1.5m 깊이의 다진 흙 위에 백회, 숯, 백회를 차례로 깐 다음 무늬없는 벽돌을 가로 세로 2겹 깔고 그 사이를 백회로 메워 널방 바닥을 조성하였다. 앞방의 크기는 동서 3.12m, 남북 2.88m, 뒷방의 크기는 동서 3.78m, 남북 3.45m이다.

앞방에서는 천장 뚜껑돌로 보이는 판돌이 발견되어 활처럼 곡선으로 휜 천장〔穹窿狀 天障〕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앞방 서벽 감실 좌우에는 4각 돌기둥을 세웠다. 벽화는 회벽 위에 인물풍속도 등의 내용이 그려져 있다. 앞방에는 고취악대, 말을 탄 사람, 무사 및 주방을 그렸으며, 왼쪽 감의 벽화는 지워져서 내용을 알 수 없으나 그 앞의 사각 돌기둥 조각에는 머리에 수식을 한 무사가 검을 짚고 서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으로 미루어보면 본래 이 위치에는 무덤 주인의 실내생활을 묘사한 듯하다. 또한, 오른쪽 감에는 수레가 그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이 고분은 안악 3호분〔冬壽墓〕, 요동성총(遼東城塚), 태성리 1호분처럼 옆방이 달리고 서쪽 옆방에 무덤 주인의 초상이 그려진 벽화고분들과 같은 계통이다. 즉, 기둥벽화의 장식물, 부엌의 모습, 호위무사, 악대, 방앗간 등은 안악 3호분에 동일하게 보이는 소재들이다. 아울러 인물의 복식과 벽화의 묘사에서 선조(線條)의 백묘법(白描法)과 채색 방법도 역시 안악 3호분과 유사하다. 그러면서 딸린방의 감실이 간략화되고 널방 축조에 작은 돌과 벽돌을 사용한 점은 ‘영화 9년명 벽돌출토고분’과 비슷하다. 따라서 이 벽화고분은 안악 3호분, 영화 9년명 벽돌출토고분에 가까운 4세기 중엽경 무덤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고구려 고분벽화 이야기』(전호태, 사계절, 2007)
『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
『고구려 고분벽화연구』(전호태, 사계절, 2000)
『고구려의 고고문물』(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6)
『북한문화유적발굴개보』(문화재관리국문화재연구소, 1991)
『한국의 고분』(김원룡, 교양국사총서 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
『한국의 원시 고대미술』(김기웅, 정음사, 1974)
『한국벽화고분』(김원룡, 일지사, 1980)
『력사사전』Ⅱ(사회과학출판사, 1971)
「평양역전2실분발굴보고」(과학원 고고학·민속학연구소,『고고학자료집』1집, 과학원출판사,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