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조 ()

목차
관련 정보
국악
개념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전통음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악조.
내용 요약

평조는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전통음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악조이다. 음계, 선율의 특징인 선법, 중심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조 등 세 가지 구성요소와 관련된다. 평조의 음계가 5음 음계임은 고려 시대 이후 지금까지 변함이 없다. 오직 선법과 조 개념이 시대에 따라 변천되었다.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에 쓰인 평조는 오직 선법명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임진왜란 이후 평조가 조명으로도 사용된다. 『양금신보』 4조 중 평조계면조는 조명으로만 쓰였다. 같은 책 4조의 평조는 선법과 조의 복합적 의미를 지닌 악조명이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전통음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악조.
내용

우조(羽調)주1의 경우처럼 오랫동안 사용되는 과정에서 복잡하게 변천되었다. 지금까지 사용되어 온 개념은 악곡의 구성음에 관련된 음계(音階)와 음계 안에 나열된 음들의 상호관계에 의한 선율의 특징을 나타내는 선법(旋法)이다. 그리고 선법에 나타난 중심음의 높낮이와 관련된 조(調) 등 세 가지 음악적 요소와 관련되어 있다. 음계 · 선법 · 조의 세 가지 구성요소 중 선법과 조가 시대의 변천에 따라서 다르게 사용되었기 때문에, 평조의 개념은 역사적으로 복잡하게 전개되었다.

평조의 음계가 5음 음계임은 고려시대 이후 지금까지 변천되지 않았으며, 오직 선법과 조 개념이 변천되었다. 고려 후기와 조선 전기에 쓰인 평조라는 악조는 오직 선율의 특징을 나타내는 선법명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평조는 선법명과 조명으로 사용되는 변천과정을 거쳤다.

평조라는 악조는 통일신라 때 거문고음악에서 우조와 함께 쓰였고, 주2의 음악에서도 다른 악조와 함께 사용되었다. 거문고나 삼죽의 평조가 어떠한 음악적 특징을 지녔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평조가 거문고음악에서 쓰인 점으로 보아서 우리나라의 악조로 추정될 수 있지만, 삼죽의 음악에서 평조가 월조(越調) · 반섭조(般涉調) · 황종조(黃鐘調) 이상의 세 당악(唐樂)의 악조와 같이 쓰여 의심스럽다.

평조라는 악조명이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대악후보(大樂後譜)』에 전하는 고려향악곡에서 쓰인 점으로 보아서, 고려향악에서 쓰였음이 확실하다.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 향악에 쓰인 평조는 모두 5음 음계로 되었고, 선법명으로 사용되었다.

선법명으로서의 평조는 『세조실록』 권48과 『악학궤범』 권1에 중국음악이론의 5조 중 치조(徵調)와 같다고 설명되었다. 선법의 뜻으로 쓰인 평조의 실례는 『세조실록』 권48에서 설명된 임종척자(林鐘尺字)평조라는 것과 『악학궤범』 권7 거문고 · 가얏고 · 향비파의 산형(散形)에서 설명된 주3평조와 우조평조이다. 평조의 선법이 중국 5조의 치조에 비교되었듯이 그것은 서양음악의 계명으로 부른다면 솔 선법 또는 도 선법으로 설명될 수 있다.

고려시대와 조선 전기에 선법명으로만 사용된 평조가 임진왜란 이후 중심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조명으로도 사용되었다. 1610년의 『양금신보(梁琴新譜)』 4조 중 평조계면조(平調界面調)가 조명으로만 쓰인 평조의 실례이다.

한편 『양금신보』 4조의 평조는 선법과 조의 복합적 의미를 지닌 악조명으로 사용된 실례이다. 『양금신보』의 평조계면조나 평조는 모두 임종(林鐘)을 중심음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므로, 평조라는 악조는 『악학궤범』의 7조 중 삼지(三指)에 해당하는 임종궁(林鐘宮)의 조명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조명으로만 쓰인 평조, 또는 선법명과 조명으로 쓰인 평조가 현행 가곡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러나 『유예지(遊藝志)』의 가곡 중에서 평우조(平羽調) 또는 평계조(平界調)의 평조, 그리고 『청구영언』이나 『해동가요』에 나타난 평조의 곡태(曲態) 설명으로 보아서 조선 말기까지 가곡에서 사용되었던 것 같다.

오늘날 평조라는 명칭이 판소리산조(散調) 등의 민속악에서 쓰이고 있는데, 그것은 역사적인 관점에서 가곡의 평조와 어떤 관계를 갖는지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 이상 평조개념의 역사적 변천을 정리하면 〔표〕와 같다.

[표] 평조개념의 역사적 변천

평 조\시대(세기) 통일신라
(7∼10)
고 려
(10∼14)
조선전기
(15∼17)
조선후기
(17∼19)
선 명 법 ○(?)
조 명 × (?) × ×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세조실록(世祖實錄)』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양금신보(梁琴新譜)』
『청구영언(靑丘永言)』
『유예지(遊藝志)』
『해동가요(海東歌謠)』
『한국음악연구』(이혜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주석
주1

동양 음악에서, ‘우’ 음을 으뜸음으로 하는 조. 다른 곡조보다 맑고 씩씩하다. 우리말샘

주2

저(笛), 생황, 피리의 세 관악기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국악 조현법(調絃法)의 하나. 평조와 계면조의 선법(旋法)에서, 한가락에서 네가락에 이르는 낮고 부드러운 네 조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악학궤범≫에서 나온 것으로, 거문고와 가야금 따위의 조현법에 쓴다. 우리말샘

집필자
송방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