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예지 ()

목차
관련 정보
유예지 / 타령
유예지 / 타령
국악
문헌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현금자보 · 당금자보 · 양금자보 · 생황자보 등을 편찬한 악보.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 실학자 서유구가 현금자보 · 당금자보 · 양금자보 · 생황자보 등을 편찬한 악보.
내용

원래 「유예지」는 자신이 저술한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권91부터 권98까지의 부분(유예지 권1∼6)으로 선비들의 독서법 등을 비롯한 각종 기예를 풀이한 부분이나, 음악 분야에서는 특별히 유예지 권6에 수록되어 있는 악보를 가리킨다.

「유예지」는 현금자보(玄琴字譜)·당금자보(唐琴字譜)·양금자보(洋琴字譜)·생황자보(笙簧字譜)로 나뉘어 있으며, 현금자보는 거문고보로 음계의 변화와 연주법의 변천, 그리고 조율법의 단일화 등의 변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악보이다.

당금자보는 중국 금(琴)에 관한 내용이며, 양금자보와 생황자보는 각각 그 악기의 특성에 맞는 악보를 만들어 기보하였다. 「유예지」에 수록된 악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현금자보:우중대엽(羽中大葉)·우초엽(羽初葉)·우이엽(羽二葉)·우삼엽(羽三葉)·계중대엽(界中大葉)·계초엽(界初葉)·계이엽(界二葉)·계삼엽(界三葉)·농엽(弄葉)·우락(羽樂)·계락(界樂)·편수대엽(編數大葉)·평우조(平羽調)·평계조(平界調)·삼중대엽(三中大葉)·후정화(後庭花)·염불타령(念佛打領)·육자염불(六字念佛)·타령(打領)·군악유입타령(軍樂流入打領)·우조타령(羽調打領)·군악타령(軍樂打領)·삼현회입(三絃回入)·삼현회입이장두(三絃回入二章頭)·삼현회입사장말(三絃回入四章末)·영산회상(靈山會上)·세영산(細靈山)·영산회상이층제지(靈山會上二層除指)·영산회상삼층제지(靈山會上三層除指)·보허사(步虛詞)·대현환입(大絃還入)이다.

② 당금자보, ③ 양금자보:조현(羽調調絃, 界面調絃)·영산회상(靈山會上)·가곡(歌曲)·시조(時調), ④ 생황자보:계면대엽(界面大葉)·농락(弄樂)·낙시조(樂時調)이다.

『임원경제지』는 규장각 도서와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유예지」는 1979년 한국국악학회에서 영인하였다.

참고문헌

『국악논고(國樂論攷)』(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고악보(古樂譜)에 쓰인 부호독해(符號讀解)」(장사훈, 『음대학보』 6, 서울대학교 음악대학학생회, 1973)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