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도드리

목차
관련 정보
국악
작품
보허자(步虛子: 고려시대 송나라에 들어온 사악 중 하나) 환입(還入) 가락 이하를 변주(리듬 · 선율 · 화성 등을 변형하여 연주하는 기법)한 곡.
이칭
이칭
미환입(尾還入), 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보허자(步虛子: 고려시대 송나라에 들어온 사악 중 하나) 환입(還入) 가락 이하를 변주(리듬 · 선율 · 화성 등을 변형하여 연주하는 기법)한 곡.
내용

미환입(尾還入)이라고도 하고, 국립국악원에서는 수연장지곡(壽延長之曲)이라는 아명(雅名)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옛날 악보에 보이는 밑도드리의 다른 이름은 대단히 많다. ① 한금신보(韓琴新譜):보허자본환입(步虛子本還入), ② 유예지(遊藝志):대현환입(大絃還入), ③ 홍기후보(洪基厚譜):본환입, ④ 삼죽금보(三竹琴譜):본환입, ⑤ 서금보(西琴譜):하성환입(下聲還入), ⑥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본환입, ⑦ 어은보(漁隱譜):본환입, ⑧ 김씨괴정본중금보급방향보(金氏槐庭本中琴譜及方嚮譜):미후입리(尾後入里) · 미후리(尾後里), ⑨ 학포금보(學圃琴譜):본환입, ⑩ 현금보(玄琴譜):본환입 등이다.

이와 같이 곡 이름은 조금씩 다르지만 한결같이 보허자의 환입 이하의 가락에다 환두(換頭)가락(尾後詞의 제1구)을 변주한 곡이다. 이 중에서 보허자 본환입은 보허자의 본래의 환입이라는 뜻이고, 본환입도 이와 같은 뜻이며, 대현환입은 이 곡이 거문고 연주법 중 대현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붙인 이름이다.

하성환입은 낮은 음역에서 주로 연주된 데서 온 이름이고, 미후입리와 미후리는 미후사(尾後詞)에서 돌아든다는, 또는 끝에서 돌아든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밑도드리는 끝에서 돌아든다고도 해석하고, 웃도드리가 파생한 뒤에 낮은 음역에서 연주된다 하여 밑도드리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밑도드리는 원래 보허자 환입 이하를 변주한 가락에다가 환두가락을 보탠 것이어서 장별이 없었는데, 서유구(徐有榘) 편인 『유예지』 이후로 8장으로 구분하였다가 『서금보』 · 『삼죽금보』 · 『현금오음통론』 등의 금보에서부터 7장으로 정립되었다.

밑도드리는 현행 보허사(步虛詞:步虛子)의 2장 일곱째 장단 이하 7장까지 2분의 10박자 한 장단을 4분의 6박자로 변주한 곡이며, 그 7장은 원래 보허자 미후사 제1구(宛然共指嘉禾瑞)에 해당하는 환두가락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한금신보(韓琴新譜)』
『유예지(遊藝志)』
『홍기후보(洪基厚譜)』
『삼죽금보(三竹琴譜)』
『현금오음통론(玄琴五音統論)』
『국악논고(國樂論攷)』(장사훈, 서울대학교 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