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천 봉암리 자기가마터 ( 가마터)

목차
공예
유적
북한 황해남도 평천군에 있는 고려시대 갑발 · 청자 등이 출토된 가마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평천군에 있는 고려시대 갑발 · 청자 등이 출토된 가마터.
내용

동서로 길게 뻗은 150m 되는 산 아래 경사면에 장축 남북방향으로 길이 약 80m, 너비 50m에 청자편(靑瓷片)·갑발편(匣鉢片) 들이 쌓여 있다. 1959년 6월부터 7월까지 발굴조사한 결과 10×17㎝ 크기의 장방형벽돌로 정연하게 쌓은 등요(登窯)로 확인되었다.

너비 95㎝, 총 가마길이 44m이며, 측벽에는 60∼70㎝ 간격의 출입구가 17개소나 있고, 가마의 천장은 궁륭형의 터널모양이다. 출토유물은 원통형(圓筒形)의 갑발(匣鉢)과 갑발받침, 그리고 화분형의 갑발들이 대부분이었으며, 갑발의 높이는 12㎝, 지름은 20∼30㎝였다. 가마벽돌은 회흑색(灰黑色)의 10×17㎝ 크기의 장방형벽돌과 한 변이 11㎝ 되는 정방형의 벽돌이 출토되었다.

청자는 녹청색(綠靑色)·녹갈색(綠褐色)·담청색(淡靑色)의 것으로서, 완(盌)·대접·접시·발(鉢)·유병(油甁)·주전자·항(缸) 등이 출토되었다. 문양은 없고, 내화토(耐火土) 받침으로 얇게 받쳐 구운 흔적이 있으며 토기편도 출토되었다.

가마의 제작시기는 충청남도 서산 오사리요지(梧沙里窯址), 경기도 고양 원흥리요지(元興里窯址), 용인 서리요지(西里窯址)의 최고층(最古層)에서 출토되는 갑발·벽돌·청자완(靑瓷盌)·접시편과 같은 것으로, 고려시대 10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전반에 걸쳐 제작된 초기 청자요지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고려청자요지(高麗靑瓷窯址)의 연구(硏究)」(윤용이, 『고고미술』171·172, 한국미술사학회, 1986)
「황해남도 고려자기 가마터 발굴보고」(리병선, 『고고학자료집』3, 과학원출판사, 196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