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병대 ()

목차
근대사
제도
조선 말기에 설치되었던 중앙군대의 화기부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말기에 설치되었던 중앙군대의 화기부대.
내용

1897년에 황권(皇權)호위를 위한 시위대(侍衛隊) 1개 대대가 편제되고, 이듬해 시위연대로 확충 개편되면서 그 해 7월 신식 화기부대인 포병 1개 중대가 시위연대에 설치, 배속되었다.

신설된 포병중대는 병력을 보병 가운데에서 선발하였으며, 회선포(回旋砲)·극로백포(克魯佰砲)를 전관하게 하고, 포병을 총관하는 참령(參領) 1인은 군부(軍部) 포공국(砲工局)의 포병과장이 겸하였다.

포병중대의 구성은 정위(正尉)로 임명되는 중대장 1인, 부위(副尉)·참위(參尉)로 임명되는 소대장 4인, 하사관 15인, 그리고 병졸 185인으로 되었다. 그 뒤 포병중대는 시위연대를 강화하기 위하여 1900년 12월에 시위포병 2개 대대로 증편되었다.

이때 1개 대대는 산포(山砲) 2개 중대, 야포(野砲) 1개 중대 등 3개 중대로 편제되었으며, 그 병원은 대대본부에 대대장인 참령 1인, 부관 1인 등 모두 10인이 있고, 산포 1개 중대는 정위로 임명되는 중대장을 비롯, 장교·하사관·병졸 등 모두 111인으로 편제되었으며, 야포 1개 중대는 95인으로 편성되어 전투력이 대폭 증강되었다.

그러나 러일전쟁에 승리한 일제가 1905년 4월 군대를 대폭 감축하였는데, 이때 포병 2개 대대도 독립 1개 중대로 축소되었다가 1907년 군대해산으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순종실록』
『한국군제사-근세조선후기편-』(육군본부, 1977)
『한말근대법령자료집』Ⅰ∼Ⅷ(송병기 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0∼1972)
『대한제국의 군사제도』(서인한, 혜안, 200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