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922년 아들 병식(炳軾)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박희순(朴熙淳)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문봉호(文鳳鎬)·문기호(文璣鎬)·송병문(宋秉文)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02수, 서(書) 68편, 권4·5에 잡저 2편, 서(序) 4편, 기(記) 3편, 제문 2편, 설(說) 2편, 사(辭) 3편, 부록으로 행장·묘지명·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풍경을 읊은 것이 많은데, 사실적이며 감상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재유선유동(再遊仙遊洞)」은 선유동을 두번째 가서 느낀 감회를 읊은 것이다. 「조한재팔영(照寒齋八詠)」은 조한재 주변의 경관을 여덟 가지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으로 사실적인 묘사가 뛰어난 작품이다.
서(書)는 최익현(崔益鉉)·정재규(鄭載圭)·조성가(趙性家)·전우(田愚)·이도복 등과 주고받은 것으로, 사서삼경과 상례(喪禮) 등에 대해 질의 응답한 내용이 많다. 잡저의 「한거수록(閑居隨錄)」은 수신과 제가에 대해 생각나는 대로 적은 글이다.
「호상문답(湖上問答)」은 김재화(金在華)·민영덕(閔泳德)·민영의(閔泳儀)·권영철(權寧喆) 등과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글이다. 시세(時勢)·학문·선비·교육·친구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예절에 대해서도 단편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존심설(存心說)」에서는 성리학의 일단으로 마음이란 하늘에서 얻어 만기를 통치하는 주재이며, 동정을 동시에 겸유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덕으로 말하면 허령지각(虛靈知覺)이고, 체로 말하면 인의예지(仁義禮智)이며, 용으로 말하면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희로애락애오욕(喜怒哀樂愛惡欲)이 되므로, 용에 가장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이 밖에 태학생 민승선(閔承宣)이 지은 운곡재에 대한 기록인 「운곡재기(雲谷齋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