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형권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국민위원회 위원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함경북도 경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국민위원회 위원을 역임한 사회주의운동가.
개설

함경북도 경흥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11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상설(李相卨)·김학만(金學萬)·정재관(鄭在寬) 등과 권업회(勸業會)를 창설하는 데 참여하였다. 신문부 총무를 역임하였다.

1918년 5월 하바로프스크에서 조직된 한인사회당에서 당수인 이동휘(李東輝)의 막료로, 또 박진순(朴鎭淳)과 더불어 당내 이론가로서 활동하였다.

한인사회당이 1919년 말 상해(上海)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할 때, 그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한인사회당의 임시정부 참여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0년 초에는 임시정부 국무총리 이동휘에 의하여 임시정부의 신임장과 밀서를 가지고 모스크바에 파견되어 소비에트정부의 외무상인 치체린(Tschitscherin, O.)을 만나고 레닌(Lenin, N.)과도 만났다. 레닌에게 ‘임시정부를 승인할 것’, ‘독립운동자금을 원조해 줄 것’ 등을 요구하였고, 레닌으로부터 200만루불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이 중 1차로 60만 루불을 받아 40만 루불을 김립(金立)을 통하여 임시정부에 전달하게 하였으며, 1922년 11월 20만 루불을 가지고 상해로 귀환하였다. 이 자금의 일부가 1923년 초부터 개최된 국민대표회의에 쓰였다.

그는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의 일원이었으며, 국민대표회의가 결렬된 뒤 창조파가 블라디보스토크로 이동하여 조선공화국을 조직하였을 때, 국민위원회 위원을 맡았다.

참고문헌

『이상설전』(윤병석, 일조각, 1984)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준엽·김창순,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1967)
「한인사회당연구」(권희영, 『한국사학』11, 1990)
집필자
한시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