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호문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민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민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7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7년 이민덕의 5대손 이기덕(李基德)이 편집하고, 현손 이금희(李錦熙)와 이광희(李光熙)가 간행을 도왔다. 권두에 이원조(李源祚)와 송준필(宋浚弼)의 서문, 권말에 이금희와 이기덕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80수, 만사 78수, 뇌사(誄辭) 3편, 권2·3에 서(書) 4편, 잡저 2편, 서(序) 5편, 기(記) 3편, 발(跋) 2편, 상량문 4편, 제문 30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 40수, 가장(家狀)·행장·유사·묘표·묘지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소박하면서도 사실적이다. 「독논어(讀論語)」는 『논어』를 읽고 난 학문적인 감회를 표현한 것이다. 「동경회고(東京懷古)」는 천년고도인 경주를 돌아보고 번화했던 지난날과 현실의 쓸쓸함을 비교하여 읊은 것이다. 서(書)의 「여신청천(與申靑泉)」은 신백한(申伯翰)에게 학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면서 함께 매진할 것을 제의한 글이다.

잡저의 「독서설(讀書說)」은 학문을 배우는 것은 행하기 위한 것이므로 글을 배워서 행하지 못함은 배우지 않은 것만 못하다고 설명하였다. 「김종택부인조씨열행정영문(金宗澤婦人曺氏烈行呈營門)」은 김종택의 부인 조씨가 남편이 병들어 사경을 헤맬 때 자신의 다리 살을 베어 삶아 먹여 소생시킨 사례를 들어 표창할 것을 건의한 것이다.

기의 「관왕묘중수기(關王廟重修記)」에서는 안동 서악(西岳)에 세워진 관왕묘를 중수하면서 관왕묘가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된 역사적인 배경과 관왕 사상이 주민들의 생활에 끼친 영향을 설명하였다. 「몽견퇴계선생기(夢見退溪先生記)」는 꿈에 이황(李滉)을 만나 학문에 대해 의견을 교환한 내용을 적은 것이다. 「주서초어발(朱書抄語跋)」은 주희(朱熹)의 어록 중에서 진수만을 골라 편찬하고 그 이유와 용도를 설명한 글이다.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