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장 ()

목차
관련 정보
예불
예불
불교
의례·행사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 · 경례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의 한결같음을 나타내는 불교예절. 불교의식 · 경례법.
내용

원래 합장은 흩어진 마음을 일심(一心)으로 모은다는 뜻이다. 다섯 손가락을 붙이는 것은 눈·귀·코·혀·피부 등이 색깔·소리·냄새·맛·감촉을 좇아 부산히 흩어지는 상태를 한 곳으로 향하게 한다는 뜻이다.

손바닥을 마주붙이는 것은 이 앞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을 감지하고 조정하는 제6식인 의식(意識)을 모은다는 뜻을 상징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뜻에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는 것인데, 손가락만을 합하고 손바닥을 합하지 않는 것은 마음이 거만하고 생각이 흩어졌기 때문이라 하여 꺼리게 된다.

또한, 합해진 손 모양이 가지런하지 않을 경우에도 마음이 올바르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하여 몹시 주의한다. 또한, 이 합장의 자세는 다툼이 없는 무쟁(無諍)을 상징하는 것으로, 합장한 상태로는 싸움을 할 수 없으며 동정(動靜:움직임과 고요함) 및 자타(自他)의 화합을 뜻한다.

또, 연화합장(蓮花合掌)이라 하여 두 손의 열 손가락과 손바닥을 함께 합하여 연꽃봉오리모양을 만드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더러움 속에 있으면서도 항상 맑고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꽃의 의미를 상징화한 것으로, 불교의식의 초기 단계에서는 이러한 합장을 하였다. 그런데 봉오리의 모양을 갖춘 이 상태가 미래불(未來佛)인 미륵불(彌勒佛)의 시대에 이르면 활짝 핀 연꽃모양의 합장을 하게 된다는 설이 있다.

또한, 밀교(密敎)에서는 두 손을 합하는 것을 정혜상응(定慧相應 : 선정과 지혜가 서로 응함)과 이지불이(理智不二:본체의 세계와 지혜로운 작용의 세계가 둘이 아님)를 나타내는 것이라 하여 그 공덕 또한 넓고 크고 한량없다고 보고 있다. 불교인은 승속(僧俗)을 막론하고 합장으로 인사법을 삼고 있으며, 불교정신의 기본이 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칙수백장청규(勅修百丈淸規)』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