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주정선 ()

목차
도교
문헌
박종도가 풍수지리설 가운데 실용적인 것을 골라 도식화하여 설명한 지리서. 풍수지리서.
목차
정의
박종도가 풍수지리설 가운데 실용적인 것을 골라 도식화하여 설명한 지리서. 풍수지리서.
내용

4권 4책. 필사본. 표지에는 ‘매주(買珠)’라고 되어 있다. 권두에 권석기(權錫耆)의 서문이 있다.

‘현주’는 현해에서 여의주를 찾는다는 뜻으로 넓은 산천에서 명당자리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뜻을 표한 것이며, 매주는 찾은 구슬을 판다는 뜻으로 이 책을 보고 나면 그만큼 명당을 찾기가 용이함을 나타낸 것이다.

권1에 논용격(論龍格)·삼세(三勢)·삼락(三落) 등 27편, 권2에 혈법음양(穴法陰陽)·혈정증좌(穴情證佐) 등 38편, 권3에 이기음양(理氣陰陽)·이기순정(理氣純淨) 등 12편, 권4에 승룡방위(乘龍方位)·좌혈방위(坐穴方位) 등 14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논삼세>는 산천의 지형을 산룡(山龍)·강부(岡阜)·평양(平洋)의 세 종류로 분류하고, 형국의 생김새와 혈의 심천, 외곽의 원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여 명당을 찾는 데 용이하게 한 것이다. <삼락>은 산의 기복이 초·중·말에 따라 형태가 다르고 혈의 입지가 다른 것을 설명하였다.

<증혈 證穴>은 명당의 형태에 따라 생김새를 증명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태극·분합(分合)·동기(動氣)·과협(過峽)·용맥(龍脈) 등 20개 사항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혈의 혈태에서도 천교(天巧)·지비(地祕)·착월(捉月)·천(泉) 등 14개로 나누어 도시하였으며, 특징과 찾는 방법 및 길흉 등을 자세히 설명하였다.

<논체세 論體勢>에서는 명당이 이루어진 형태를 19종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이미 쓰인 장지를 그림으로 예시한 후 특징과 내용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 밖에도 음양을 중요시하여 <이기음양>·<방위음양>·<용법음양 龍法陰陽>에서는 그 구분과 중요성 및 작용 등을 설명하였다. 또 용을 찾는 방법 47종과 인증하는 방법 11종, <십이장결 十二杖訣> 등은 그림으로 예시하여 현장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모든 도참서가 중국의 것을 그대로 옮겨 와서 중국과 서로 다른 문제에 부닥치면 혹은 맞고 혹은 맞지 않아 이 방면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의혹과 정신적 부담을 주었는데, 이 책은 우리 나라의 산천을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 특징이며, 중국과 차이가 있는 점은 비교 설명하여 독자의 이해를 구한 것이 장점이다. 특히, 우리 것을 찾고자 하는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집필자
권오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