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권 ()

목차
관련 정보
문형권점록
문형권점록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대제학을 뽑을 때 전 대제학이 찍는 권점(圈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대제학을 뽑을 때 전 대제학이 찍는 권점(圈點).
내용

형은 문형(文衡) 또는 전문형(典文衡)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대제학의 명칭이 매우 많았는데, 예문관·보문각(寶文閣)·집현전 등에 모두 대제학이 있었다.

이 세 곳을 예문관에서 주관하였기 때문에 예문관대제학이라 하였고, 성균관의 대사성을 겸임한 사람을 전문형이라 불렀으며, 보문각과 집현전의 대제학은 비록 대제학이기는 하였지만 전문형이라 부르지는 않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문형이라 하면 세 곳의 대제학을 겸임한 사람을 가리킨다. 권(圈)은 ‘권점(圈點)을 찍는다.’는 뜻으로 낙점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관원 한 사람을 기용하기 위하여 3배수의 추천을 받아 그 중에 결정권자가 권점을 찍음으로써 결정되었다.

일반관리의 추천과 결정은 이조에서 하지만 대제학의 결정은 전임 대제학이 하도록 되어 있었다. 대제학은 학문을 주로 다루는 학자의 우두머리이므로 다른 관원보다는 전임자가 추진하던 업무를 잘 추진하여 나갈 수 있는 적임자를 택하여 후속사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전임자에게 일임한 것이다.

전임자가 후임자의 물망에 오른 3인 중 적임자 한 사람을 골라 권점을 찍어 관할부처인 이조에 보내 처리하게 한 제도가 형권이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