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소 ()

불교
인물
신라 하대에, 쌍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선승.
이칭
시호
진감(眞鑑)
대공영(大空靈), 혜조(慧照)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774
사망 연도
850
출생지
전라북도 익산
내용 요약

혜소(慧昭, 774~850)는 신라 하대에 당에 유학하여 마조선(馬祖禪)을 수용한 선승이다. 혜소는 쌍계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신라 선종의 초기 선사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나 자신의 문하에서 하나의 선문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불교 음악인 범패와 중국의 차 문화를 수용하기도 하였다.

정의
신라 하대에, 쌍계사를 중심으로 활동한 선승.
가계 및 인적사항

혜소(慧昭, 774~850)는 774년(혜공왕 10) 전주 금마(현재의 익산)에서 태어났다. 혜소의 주1은 최 씨이며, 아버지는 창원(昌原), 어머니는 고 씨(顧氏)이다. 그는 6두품 이하의 신분으로 금마 지역의 토호 출신으로 보인다.

주요활동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낸 혜소는 부모가 사망한 후인 804년(애장왕 5)에 세공사(歲貢使) 선편의 뱃사공이 되어 당에 유학하였다. 이후 혜소는 창주(滄州) 신감(神鑒)의 문하에서 주2를 받았고, 810년(헌덕왕 2)에 숭산(崇山) 소림사(小林寺)에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이후 당에서 유학 중이었던 도의(道義)를 만나 그와 함께 여러 곳의 지식을 찾아 다녔다. 도의가 귀국한 후 혜소는 종남산에 들어가 3년 동안 지관(止觀)을 닦았고, 다시 3년 동안 짚신을 만들며 오가는 사람에게 주3하였다.

830년(흥덕왕 5) 혜소는 신라로 돌아온다. 귀국한 그는 상주 장백사(長栢寺)에 머물다가 삼법화상(三法和尙)이 머물렀던 지리산 화개곡에 절을 다시 세우고 그곳에서 지냈다. 838년(민애왕 1) 민애왕이 그를 만나고자 하였으나 혜소는 왕의 요청을 거절하였다. 이때 혜소는 부지런히 선정(善政)을 힘쓰기만 하면 될 것이고 굳이 나를 만날 필요가 없다고 왕에게 답변하였다고 한다. 당시 민애왕은 개혁 정치를 추진하기 위해 혜소에게 조언을 구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이야기에서 정치적 · 사회적 혼란기였던 신라 하대의 집권층이 새롭게 대두한 선종에 정치적 · 사상적 지원을 기대하던 사회적 분위기를 엿볼 수 있다. 이후 민애왕은 혜소에게 주4라는 호를 내리고 황룡사에 적을 올리게 하여 그를 후원하였다. 그후 혜소는 새로이 옥천사(玉泉寺)를 짓고, 조계(曹溪) 육조(六祖)의 주6을 세웠다. 혜소가 육조의 영당을 건립한 것은 선종의 정통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혜소는 850(문성왕 12)년에 입적하였다. 886년 헌강왕이 그에게 시호주5으로, 주7를 대공영(大空靈)으로 내려 그를 주8

혜소는 자신의 문하에서 하나의 선문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정진대사(靜眞大師) 긍양(兢讓)주9에 희양산문(曦陽山門)의 지증대사 주10이 자신의 법계를 고쳐 혜소의 법맥을 이었다고 적혀 있으므로 혜소의 영향이 일정 정도 후대에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학문과 저술, 사상과 특징

비문 외에는 자료가 없기 때문에 혜소가 가졌던 선 사상을 뚜렷하게 알 수 없다. 다만 당에서 유학하던 혜소의 스승이 마조 도일(馬祖道一)의 제자인 신감이므로 혜소 역시 마조선(馬祖禪)의 본령을 충실하게 따랐던 것으로 보인다.

당대(唐代) 선을 대표하는 마조 도일의 선 사상은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이며, '일상의 있는 그대로의 마음이 도[平常心是道]'라는 주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마조는 '수행을 통해 주11 마음을 부처의 마음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마음이 그대로 도이기 때문에 수행이 필요없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곧 '일상의 모든 행위가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는 관점이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사고 방식은 '현실의 모습 그대로를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마조선의 핵심 사상은 마조 도일 문하의 선승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신라 말에서 고려 초, 주12의 대부분이 이러한 마조선을 계승하였다. 혜소의 비문에 그의 청빈한 일상 생활이나 누구든지 평등하게 대한 그의 자세 등이 주로 서술된 것은 혜소의 선이 지향했던 바가 무엇이었는가를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한편 혜소는 당에 유학하여 불교 음악인 범패(梵唄)를 도입하였고, 중국의 문화를 수용하기도 하였다. 그가 수용한 범패는 종래 신라에서 향유하던 음악과는 전혀 다른 갈래의 음악이었다. 이는 혜소가 범패라는 불교 음악을 통해 대중 교화를 실행하고자 했음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원전

崔致遠, 「雙谿寺眞鑒禪師大空靈塔碑文」(『조선금석총람』 상, 조선총독부, 1919)
李夢游, 「鳳巖寺靜眞大師圓悟塔碑」(『조선금석총람』 상, 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정성본, 『신라 선종의 연구』(민족사, 1995)
추만호, 『나말여초 선종사상사 연구』(이론과 실천, 1992)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주석
주1

승려가 되기 전의 성. 우리말샘

주2

사승(師僧)이 제자의 득법(得法) 또는 설법을 증명하고 인가함. 우리말샘

주3

자비심으로 남에게 재물이나 불법을 베풂. 우리말샘

주4

피휘로 혜소

주5

신라 후기의 승려(774~850). 속성은 최(崔). 법명은 혜소(慧昭). 자는 영을(永乙). 자호는 무의자(無衣者). 중국 당나라에 가서 범패(梵唄)를 배우고 돌아와, 지리산에서 옥천사(玉泉寺)를 창건하고 수도하였다. 저서에 ≪어산구감(魚山九鑑)≫이 있다. 우리말샘

주6

한 종파의 조사(祖師)나 한 절의 창시자, 또는 덕이 높은 승려의 화상(畫像)을 모신 집. 우리말샘

주7

승려의 별호. 우리말샘

주8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죽은 아버지,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에게 벼슬을 주다. 우리말샘

주9

비석에 새긴 글. 우리말샘

주10

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구산 조사(九山祖師)의 한 사람으로 구산문(九山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조이다. 우리말샘

주11

무엇에 홀려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우리말샘

주12

통일 신라 이후 불교가 크게 흥할 때, 승려들이 중국에서 달마의 선법(禪法)을 받아 가지고 와 그 문풍(門風)을 지켜 온 아홉 산문. 실상산문, 가지산문, 사굴산문, 동리산문, 성주산문, 사자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수미산문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