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어 ()

목차
언어·문자
개념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언어.
목차
정의
사람을 부를 때 사용하는 언어.
내용

호칭어에는 두 갈래가 있어서, 엄격하게 구별하면 사람을 가리켜서 하는 말인 명호(名號)를 칭호(稱號, 또는 指稱語)라 하고,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부름말을 호칭(呼稱, 또는 呼稱語)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는 따로 쓰이기도 하고 겸해서 쓰이기도 하며, 칭호만 있고 호칭으로는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현대국어의 칭호와 호칭은 순수한 우리 고유어와 예로부터 써오던 한자어가 다함께 쓰이고 있으며, 친척과 인척 사이에서 쓰이는 것과 일반인 사이에서 쓰이는 것이 따로 발달되어 있다.

생시(生時)와 사후(死後)에 따라서 달리 쓰이기도 한다. 또 지방과 집안에 따라서 다르며, 며느리는 친정과 시댁에 따라서 칭호와 호칭을 특별히 다르게 쓰는 경우도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한자어계의 친인척 호칭은 [그림 1] 과 같다. 이 밖에 남계 배우자 가운데 동항(同行)은 형수·삼종제수(三從弟嫂)와 같이 하고, 오빠의 부인은 ‘올케’, 동생의 부인은 ‘오라비댁’, 며느리끼리는 동서(同婿)라 한다.

존속은 고조모(高祖母)·당숙모와 같이 하고, 비속(卑屬)은 당질부(堂姪婦)·증손부와 같이 한다. 당숙·당질은 종숙(從叔)·종질(從姪), 제수는 계수(季嫂)라고도 하며, 동항과 숙항(叔行), 질항(姪行)에서는 촌수를 넣어 일컫기도 하는데, 칠촌재당숙(七寸再堂叔)·육촌형(六寸兄)·칠촌재당질 등과 같이 한다.

자부(子婦)의 친정부모나 딸의 시가부모를 사돈(査頓 : 바깥사돈·안사돈)이라 하고, 형제의 장인·장모나 자매의 시부모를 사장(査丈 : 바깥사장·안사장)이라 한다. 아버지의 외가는 진외가(陳外家)라 하고, 진외재당숙(陳外再堂叔) 등과 같이 일컫는다.

처가계의 호칭은 ‘처’를 붙여서 처백모(妻伯母)·처외숙과 같이 하고, 시가계의 호칭은 시백부(媤伯父)·시고모 등과 같이 부른다 [그림 2∼5].

이상은 순수한 한자어 중심의 친인척 호칭인데, 이들이 실지 국어생활에서 쓰이는 모습을 보면 [표 1]과 같다. ‘부모’에 대하여, 친부모는 ‘아버지·어머니’, 시부모는 ‘아버님·어머님(안동지역에서는 친부모가 아배·어매, 시부모가 아뱀·어맴)’이라 한다.

[표 1] 한자어 중심의 친인척 호칭

대상자
(칭호)
㉮ 대상자를 부를 때 ㉯ 대상자에게 나를 일컬을 때 ㉰ 대상자를 남에게 말할 때 ㉱ 남의 대상자를 일컬을 때
아버지 아버님
편지-父主
자 소자 不肖子 저 家親 嚴親 老親 春府丈 大人 尊堂 어르신 어르신네
(생시와 같음)
축문-顯考
(생시와 같음)
축문-孝子 弧子
先親 先考 先人 先君 돌아가신 아버님 先考丈 先大人 先父君
어머니 어머님
편지-慈主 母主
(부의 경우와 같음.) 모친 慈親 老母 大夫人 慈堂

堂 令堂
(생시와 같음.)
축문-顯
(생시와 같음.)
축문-효자 哀子

先大夫人 先慈堂
조부 할아버지 할아버님 손자 小孫 손 不肖孫 불효손 조부 王父 조부장 王大人 王尊丈
(생시와 같음.)
축문-조고 현조고
(생시와 같음.)
축문-효손
조고 王考 선조고 선왕고 왕고장 선왕존장 선왕대인
조모 할머니 할머님 (조부의 경우와 같음.) 조모 왕대부인, 존왕대부인
(생시와 같음.)
축문-조비 현조비
(조부의 경우와 같음.) 조비 선조비 선왕대부인
백부
중부
숙부
계부
백부 큰아버지
중부 둘째아버지
숙부 작은아버지
계부 막내아버지
조카
猶子
從子
(㉮와 같음.)
舍伯父
舍仲父
舍叔父
舍季父
伯父丈
중부장
숙부장
계부장
阮丈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선 백부 선중부 선숙부 선계부 선백부장 선중부장 선숙부장 선계부장
백모
숙모
백모 큰어머니
숙모 작은어머니
(몇째를 붙여 씀.)
(백부 중부 숙부 계부 때와 같음.) (㉮와 같음.)
사 백모 사 숙모
尊伯母 손숙모 尊伯母夫人 존숙모부인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선백모 선숙모 선백모부인 선숙모부인
종조부 종조부 종조할아버지 종손 종조부 종조할아버지 貴從祖丈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先從祖 선종조장
종조모 종조모 종조할머니 종손 종조모 종조할머니 귀종조모님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선종조모 선종조모님
당숙
(종숙)
당숙 종숙 아저씨 당질 종질 鄙堂叔 비종숙 당숙장 종숙장 堂阮丈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선당숙 선종숙 선당숙장 선종숙장 선당완장
형 큰형 작은형 둘째형 아우 동생 舍弟 家弟 몇째 아우(동생) 舍伯 舍仲 舍兄 家伯 가중 가형 伯氏 백씨장 중씨장 중씨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先伯 선형 선중형 先伯氏丈 선중씨장
형수 아주머니 형수씨(님) 형수 시동생 형수씨 영형수씨
아우 동생 사제 가제 舍季 사형 가형 사제 중제 계제 가제 鄙弟 令弟氏 영계씨 賢弟氏 현계씨
亡弟 (생시와 같음.) 망제 망중제 망계 선제씨 선계씨
제수 아주머니 제수씨 계수씨 생(生) 제수 계수 영제수씨 영계수씨
종형 종형 사촌형 종제(아우) 鄙從伯 비종형 堂伯 令從氏丈 영종백씨장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先從伯 선종형 선종씨장 선종백씨장
종제 종제 사촌동생(아우) 종형 형 비종제 堂弟 영종제 영종계씨
(생시와 같음.) (생시와 같음.) 망종제 선종제씨
누님 누나 언니(여자형제 간) 아우 동생
氏 누님
영자씨
누이 동생 ○○어미 오빠 舍妹 영매씨

(남편)
당신 아내 처 愚妻 남편 그이 바깥양반 令君子 賢君子
(생시와 같음.)
축문-顯
(생시와 같음.) 亡夫 선영군자

(아내)
당신 여보 마누라 남편 부 가부 아내 집사람 안사람 內子 閤夫人 영부인
亡室 망처 (생시와 같음.) 망실 망처 고영부인 故賢閤
아들 큰애 몇째애 ○○아비 이름 아비 어미 家兒 豚兒 아들애 자식놈 令息 令胤 자제 아드님
딸 큰애 몇째애 ○○어미 이름 ○집(室) 아비 어미 여아 여식 딸애 딸년 令愛 따님
손자 손자 이름 할아버지 할아비 할머니 할미 손자애 孫兒 영손 令抱
손녀 손녀 이름 할아버지 할아비 할머니 할미 손녀딸 손녀 손녀따님
외조부 외조부 외할아버지 외손 외조부 外王父 외왕대인 외왕존장
외조모 외조모 외할머니 외손 외조모 외왕대부인
외숙부 외숙 외삼촌 외아저씨 甥姪 鄙外叔 비표숙 귀외숙 귀표숙
외숙모 외숙모 표숙모 생질 비외숙모 비표숙모 귀외숙모 귀표숙모
고모 고모 아주머니 舍姪 가질 비고모 귀고모부인
고모부 고모부 姑叔姻叔 婦姪 姻姪 비고모부 귀고모부장
이모 이모 아주머니 姨姪 비이모 귀이모부인
이모부 이모부 姨叔 이질 비이숙 귀이숙장
장인 장인어른 外舅 聘父 岳父 聘翁 사위 外甥
비빙부 귀빙장
장모 장모님 外姑 빙모 악모 사위 외생 서 비빙모 귀빙모부인
외종형 외종형 表從兄 외사촌형 內從弟 비외종형 비표종제 귀외종 귀표종
외종제 외종제 표종제 외사촌동생 내종형 비외종제 비표종제 귀외종 귀표종
내종형 내종형 내종사형 외종제 표종제 비내종형 귀내종씨
내종제 내종제 내종사촌동생 외종형 표종형 비내종제 貴內從
이종형 이종형 이종사촌형 姨從弟 비이종형 귀이종씨
이종제 이종제 이종사촌동생 이종형 비이종제 귀이종
사위 ○서방 婦翁 사위 여서

兒 家
서랑 영서랑 玉潤

사후에는 친부모도 ‘아버님·어머님’이라고 하며, 상대방을 높이고 자기 쪽을 낮출 경우에는 아래 [표 2] 와 같은 접두사를 쓴다. 또 직계존속 앞에서는 압존법(壓尊法)을 써서, 조부모 앞에서 부모에 관하여 말씀을 드릴 때에는 ‘아비(또는 어미)’라고 한다.

[표 2] 존칭과 겸칭에 쓰이는 접두사

구 분 존 칭 겸 칭 극 겸 칭
令-, 尊- 家-, 舍- 愚-, 鄙-
先- 亡- 先-

일반호칭은 ① 감탄사형으로 ‘여보’계의 ‘여보·여보게·여보세요·여보시게·여보시오·여보십시오·여봅시오·여봐라·엽쇼’와 ‘이애’계의 ‘이애·얘’가 있다.

② 성명―접사형(姓名―接辭形)으로 존칭접사인 ‘―님, ―씨, ―양’과 경칭인 ‘여사·부인·선생·공(公)’, 비칭(卑稱)인 ‘―군, ―서방’이 있으며, 결혼하지 않은 남자를 대접하여 부르는 ‘총각·도령’이 있다. 또 처녀를 대접하여 부르는 ‘소저(小姐)·처자(處子)’도 있다.

③ 지위명형(地位名形)으로 사회적인 지위인 총리·장관·사장·이사·위원 등을 쓰고, 여기에 존칭접사 ‘―님’을 붙이기도 하며, 지위에 따라 ‘각하(閣下)·저하(邸下)·전하(殿下)·성하(聖下)·폐하(陛下)’ 등이 쓰기도 한다.

④ 친족어대용형(親族語代用形)으로 ‘할아버지·할머니·아저씨·아주머니(아줌마)·형·언니·오빠·누나’가 쓰인다.

⑤ 대명사형으로 ‘어르신네·여러분·임자·이애’ 등이 쓰인다. ⑥ 명사형으로 ‘마나님·마님·사모님·주부님·아가씨·학생’이 쓰인다.

⑦ 택호형(宅號形)으로 친정의 지명을 딴 ‘안성댁·남원댁’ 등과, 지위에 따르는 ‘장관댁·군수댁·사장댁’ 등이 있다. ⑧ 외래어에 따른 호칭으로 ‘미스터(Mr.)·미스(Miss)·미세스(Mrs.)·마담(madame)’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가정언어』(여증동, 시사문화사, 1986)
『국어친족어휘연구』(문빈영, 1989)
「현대국어의 가족명칭에 대하여」(강신항, 『성대대동문화연구』 4, 1967)
「국어호칭의 실상과 대책」(박갑수, 『국어생활』 19, 1989 겨울.)
「친척의 계보와 호칭」(이응백, 『국어생활』 19, 1989 겨울.)
「부름말」(정재도, 『국어생활』 19, 1989 겨울.)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