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서아언 ()

목차
관련 정보
화서아언
화서아언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김평묵 · 유중교 등이 이항로의 가정 습록 및 제자들의 어록 등에서 발췌하여 1874년에 간행한 수양서.
내용 요약

『화서아언』은 조선 후기 학자 김평묵·유중교 등이 이항로의 가정 습록 및 제자들의 어록 등에서 발췌하여 1874년에 간행한 수양서이다. 12권 3책에 36편 891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항로가 말년에 병이 위독해 강설할 수 없게 되자, 강습을 위한 자료로서 1867년(고종 4)에 완성하였다. 1874년에 문인 양헌수의 도움으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편집 경위와 방법 및 독자들이 주목해서 보아야 할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 뒤에 목차와 1873년 김평묵이 기록한 <화서선생사장>이 실려 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김평묵 · 유중교 등이 이항로의 가정 습록 및 제자들의 어록 등에서 발췌하여 1874년에 간행한 수양서.
내용

12권 3책. 목판본. 말년에 병이 위독해 강설할 수 없게 되자, 문인인 김평묵(金平默)과 유중교(柳重敎) 등이 이항로의 수고(手稿)와 경서를 읽고 뽑아서 기록한 가정 습록(家庭拾錄) 및 제자들의 어록 등에서 발췌해 편집한 것이다.

편집 요령은 선진시대(先秦時代)의 여러 서책과 <정몽 正蒙> 등의 유를 모방해 편과 장으로 나누었으며, 모두 36편 891조다. 강습 자료로서 1867년(고종 4)에 완성했으며, 1874년에 문인 양헌수(梁憲洙)의 도움으로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화서선생아언범례>가 있어, ≪화서아언≫의 편집 경위와 방법 및 독자들이 주목해서 보아야 할 내용들이 기술되어 있다. 그 뒤에 목차가 있고, 또한 1873년 김평묵이 기록한 <화서선생사장 華西先生事狀>이 실려 있다.

권1은 형이(形而)·임천(臨川)·구덕(九德)으로, 모두 72조목으로 나뉘어 있다. 각 편명은 대부분 그 편의 문장 첫 구절을 취한 것이며, 세 편 모두 도(道)의 본체를 논한 것으로, 이(理)와 기(氣)에 관한 총설이 실려 있다.

권2는 천지(天地)·태양(太陽)·건위(乾爲) 등 모두 66조목으로 되어 있으며, 대체로 천지와 인물의 이치에 대한 것을 보편적으로 설명하였다. 권1·2는 주희(朱熹)의 이른바 ‘도위태극(道爲太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권3은 신명(神明)·심일(心一)·인응(仁應)으로 98조목으로 되어 있는데, 신명편은 주로 심(心)만을 설명한 것으로, 이는 주희의 ‘심위태극(心爲太極)’을 말한 것이고, 나머지 두 편은 성리(性理)에 대해 잡설(雜說)한 것이다.

권4는 사부(事父)·생지(生知)·개천(蓋天)으로 68조목인데, 각각 심법(心法)에 관한 것, 치지(致知)에 관한 것, 독서에 관한 것, 즉 궁리(窮理)의 요체(要諦)를 논한 것이다. 권5는 지성(知性)·처독(處獨)·고량(叩兩)으로 본원의 함양과 실천 이행을 성찰함과 남을 가르침에 관해 각각 논한 것이며, 모두 76조목이다.

권6은 진자금(陳子禽)·진분(盡分)·충신(忠信)으로 모두 89조목인데, 첫째 편은 지언(知言)에 관한 것, 나머지 두 편은 학문에 관한 것을 잡기한 것이다.

권7은 조차(造次)·이순(理順)·유덕(有德)으로 72조목인데, 모두 학문에 관한 잡기다. 이상 권4의 사부편에서 권7의 이순편까지는 모두 학문에 대한 것이나, 유덕편은 덕행을 총론한 것이다.

권8은 이윤(伊尹)·계산장(桂山丈)·자상(子常)으로 67조목이다. 이윤편은 사람 접대와 처사(處事)에 관한 것, 나머지 두 편은 인간의 윤리문제를 논한 것이다. 권9는 주문(朱門)·홍도(洪濤)·향배(嚮背)로 모두 89조목인데, 가정 생활의 도리, 처세하는 방법, 인군의 덕과 정치의 도리 등을 각각 논하였다.

권10은 성왕(聖王)·대장(大壯)·존중화(尊中華)로서 모두 66조목인데, 정사(政事)에 관한 것, 예약에 관한 것, 중화를 높이고 이적(夷狄)을 배격하는 의리를 각각 논변하였다. 이상 권9의 향배편에서 권10까지는 모두 치도(治道)에 관한 논설이다.

권11은 여염(閭閻)·무왕(武王)·역자(易者)로 모두 76조목인데, 각각 사람들이 경계해야 할 일과 역대 인물의 득실에 관한 것과 ≪주역≫을 중심으로 한 제반 경전에 관한 것을 논하였다.

권12는 이단(異端)·양화(洋禍)·요순(堯舜)으로 모두 60조목인데, 고금에 걸쳐 이단의 학문폐해와 서양 사교(邪敎)의 화(禍) 및 역대 성현들에 관해 각각 서술하였다.

이상의 내용 중에서 가장 특색을 이루고 있는 것은 권12의 이단편과 양화편으로서 당시 시대 상황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곽종석(郭鍾錫)은 “이 ≪아언≫을 보면 묘(妙)와 비(秘)를 자득하고 독관(獨觀)한 것이 많으며, 그 심설에 있어서는 더욱 성현의 말의 요지를 얻었다.”라고 평하였다.

이항로의 가장 뛰어난 저서로 꼽히는 이 ≪화서아언≫은 1874년≪화서문집≫이 2책으로 영인, 간행될 때 부록으로 편집되었다.

번역본으로는 1974년 휘문출판사에서 발행한 ≪세계의 대사상≫ 32권에 최창규(崔昌圭)가 일부 번역한 것이 있고, 1975년≪화서집≫이라는 제명(題名)으로 김주희(金胄熙)가 완역해 대양서적(大洋書籍)에서 ≪한국명저대전집≫으로 출판한 것이 있다. 규장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참고문헌

『면우집(俛宇集)』
『조선유교연원』(장지연, 1922)
『조선유학사』(현상윤, 민중서관, 1949)
『화서아언해제(華西雅言解題)』(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1)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