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54년(철종 5) 15대손 동욱(東勗)이 수집한 것을 그의 아들 경수(敬秀)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기정진(奇正鎭)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상권은 두문동72현[杜門洞七十二賢] 중의 한 사람인 저자의 할아버지 이석지(李釋之)의 실기이고, 하권은 저자의 실기로서, 풍천현누사시(豊川縣樓舍詩) 1구, 국문가사인 형제암가(兄弟巖歌) 1수, 부록으로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효우정기(孝友亭記)·쌍계당훈계서(雙溪堂訓誡序) 각 1편, 증이수재종검김수재중종여경(贈李秀才宗儉金秀才仲宗如京)·은호효우당(恩號孝友堂)·봉정이첨추종검참판종겸양선생재양지촌서(奉呈李僉樞宗儉參判宗謙兩先生在陽智村墅) 각 1수, 유방선(柳方善)이 지은 효우당권후제시(孝友堂卷後題詩) 1편, 김안국(金安國)과 이증(李增)이 지은 추사효우당(追思孝友堂) 2수, 청오충존사양현정포소(請五忠存祀兩賢旌褒疏)·정문초계(旌門草啓)·예조관문(禮曹關文)·효우당고은양공실적발(孝友堂孤隱兩公實蹟跋)·대치사상량문(大峙祠上樑文)·봉안문·정향축문(丁享祝文)·대치사중건상량문·대치사중수기·묘표·방목(榜目)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형제암가」는 세조가 즉위하자 벼슬을 버리고 아우 종겸(宗謙)과 용인 남곡(南谷)에 은거하면서 형제암을 보고 읊은 것으로, 그의 우애심이 잘 나타나 있다.
부록 가운데 「은호효우당」은 변계량(卞季良)이 지은 것으로, 저자가 효성이 지극하여 사람들을 감화시켰고, 또한 양계(養鷄)를 하는데 학(鶴)이 나온 특이한 일이 있었으므로, 문종이 효우당이라고 호를 내려준 데 대하여 축하한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