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전산고 ()

목차
관련 정보
효전산고
효전산고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심노숭의 시 · 잡저 · 문 · 지사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심노숭의 시 · 잡저 · 문 · 지사록 등을 수록한 시문집.
서지적 사항

38책. 필사본.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제1∼5책에 시 1,727수, 제6∼12책에 잡저 187편, 제13∼15책에 지사록(志事錄) 3편, 제16책에 문(文) 42편, 제17∼20책에 술선지(述先志) 4편, 제21책에 포빙여통집(抱氷餘痛集) 1편, 제22·23책에 자저기년(自著紀年) 2편, 제24∼26책에 잡저 105편, 제27∼29책에 주묵여간(朱墨餘間) 6편, 제30책에 이후록(貽後錄) 1편, 제31책에 문 50편, 제32책에 악몽록(噩夢錄) 1편, 제33·34책에 자저실기(自著實紀) 2편, 제35책에 문 50편, 제36·37책에 문시일록(問寺日錄) 2편, 제38책에 성교일록(城郊日錄)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서호가(西湖歌)」 12수는 당나라 장자용(張子容)의 「수조가(水調歌)」와 「양주가(凉州歌)」의 첩운을 모방한 작품으로, 서호의 아름다운 풍경이 잘 묘사되어 있다. 「추흥(秋興)」 19수는 두보(杜甫)의 추흥을 모방한 작품으로, 아름다우면서도 쓸쓸한 가을의 경치와 더불어 불우한 시인의 감회를 잘 표현하고 있다. 「제김생화(題金生畵)」는 신라의 명필 김생의 그림을 보고 읊은 것으로, 그림에도 탁월한 경지에 이르렀음을 찬미한 내용이다.

서(書)의 「여김청여(與金淸如)」·「여이교리(與李校理)」는 당시 정치 정세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글들이다. 「점등소기(點燈小記)」는 객지에서 떠오른 생각들을 필요한 내용만 발췌하여 기록한 것이다. 「산하문답(山下問答)」은 나라에서 입안한 정책과 관리의 부패 등에 대해 그 실정 및 대책을 문답식으로 적은 것이다. 「학곡어록(學谷語錄)」은 스승의 명언을 입지·수신·치가·면학·언행·사환 등으로 나누어 기록하여 실행의 지표로 삼은 것이다.

「지사록」은 아버지 심관수의 상소문을 모은 것으로, 당시의 정세를 엿볼 수 있다. 「술선지」는 조상들의 행의 중 중요한 것을 세보(世譜)와 언행기(言行記)로 나누어 기록한 것이다. 언행기는 학문·문장·교제·언의(言議)·환적(宦蹟)·가훈·거관·봉견(奉見) 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포빙여통집」에서는 당시 노론과 소론 사이의 권력 다툼의 내용을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특히, 자신이 아버지와 관련되어 피해를 입은 내역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권오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