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천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채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8년에 영인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채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88년에 영인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문·발문이 없어 편자 및 필사연대를 알 수 없다. 인천채씨종회(仁川蔡氏宗會)에 있으며, 1988년 영인되어 유포되고 있다.

시 135수, 서(書) 3편, 기(記) 1편, 명(銘) 2편, 상량문 1편, 제신문(祭神文) 2편, 제문 5편, 부록으로 만사 45수, 통문 2편, 발(跋) 1편, 행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평화스러운 농촌의 경치나 명승고적의 아름다움을 노래한 작품이 많다. 「연죽(烟竹)」은 담뱃대의 생김새와 이용도를 묘사한 것이며, 「호원조우(湖院阻雨)」는 호원에 갔다가 비를 만나 돌아가지 못하고 머물러야 했던 답답한 심정을 나타낸 것이다.

「만매(晩梅)」·「죽간매(竹間梅)」에는 매화의 여러가지 형태가 묘사되어 있으며, 「봉산제석(蓬山除夕)」·「제석」에는 덧없이 흘러간 1년을 회고하면서 하는 일 없이 나이만 먹어가는 데 따른 조바심과 세상을 개탄하는 뜻이 잘 묘사되어 있다.

서(書)의 「상청대선생(上淸臺先生)」은 스승 권상일(權相一)에게 올린 것으로, 사창제도(社倉制度)를 부활시켜 삼정(三政)의 문란을 막아야 함을 건의하였고, 「답정우천(答鄭牛川)」은 정옥(鄭玉)에게 의현(義峴)의 비음기(碑陰記)에 대하여 그의 문장을 칭찬하는 내용으로 보낸 글이다.

기의 「근품산성기(近品山城記)」는 근품산성의 형상과 위치의 중요성을 설명한 글이다. 「제지신문(祭地神文)」과 「제택신문(祭宅神文)」은 지신과 택신에 대한 제문으로, 선비들의 문집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형태의 글이다.

집필자
권오호(한학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