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 목판본. 손자 상용(祥鎔)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상(李鍾祥)의 서문이, 권말에 족손 석기(奭基)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32수, 명(銘) 1편, 기(記) 2편, 문(文) 2편, 문답 2편, 논(論) 1편, 설(說) 2편, 부(賦) 3편, 가(歌) 6편, 제현시(諸賢詩) 16수, 권3은 부록으로 만사 43수, 제문 2편, 묘갈명 1편, 묘지문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담박하면서도 날카로운 관찰력을 보이고 있다. 「애완화충낙우(愛玩華蟲落羽)」·「견춘작시소(見春鵲始巢)」·「입춘즉사(立春卽事)」·「만음(漫吟)」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효제충신예의염치팔회명병서(孝悌忠信禮義廉耻八悔銘並序)」는 효도·공경·충성·신의·예절·의리·청렴·수치 등 여덟가지 덕목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켜야 할 수칙을 적은 것이고, 「감중류종해문(感衆流宗海文)」은 성리의 이론을 물에 비유하여 설명한 것이다.
「여걸승문답(與乞僧問答)」은 문전걸식하는 중과 인생에 대하여 문답한 내용으로, 그의 심오한 이치와 철학적인 견해를 수용, 인간의 도리를 연구하는 길은 공맹(孔孟)의 도 밖에도 있음을 인정한 글이다.
이 밖에도 우리나라 고대의 노래를 한역한 「초려가(草廬歌)」·「삼소가(三笑歌)」·「구구가(九九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