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

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
훈민정음
언어·문자
문헌
1450년경, 한문본 『훈민정음』의 예의편을 우리말로 풀이하여 간행한 해설서.
이칭
이칭
언해본 훈민정음
목차
정의
1450년경, 한문본 『훈민정음』의 예의편을 우리말로 풀이하여 간행한 해설서.
내용

흔히 『언해본(諺解本) 훈민정음』이라고도 한다. 번역한 사람이나 번역된 연대를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세종 말년부터 세조 초기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번역방식은 한문을 짧은 구절로 나누어 토(吐)를 달고, 한자마다 동국정운식 한자음(東國正韻式漢字音)을 표기하였으며, 그 아래에 두 줄로 한문의 자석(字釋 : 뜻풀이)을 한 다음, 그 구절 전체를 번역하였다.

한문본과 국역본은 그 내용이 완전히 같은 것이 아니어서, 국역본에는 원한문본에 없는 치음자(齒音字)에 관한 규정, 즉 한어(漢語)의 치음을 표기하는 한글의 치음자를, 치두음자(齒頭音字 : ㅈ ㅊ ㅉ ○ ㅆ)와 정치음자(正齒音字 : ㅈ ㅊ ㅉ ○ ㅆ)로 따로 제자해서 사용하도록 한 규정이 첨가되어 있으며, 이 규정은 1455년(단종 3)에 완성된 것으로 보이는 『사성통고(四聲通攷)』의 범례에도 들어 있으므로, 번역사업은 1455년 이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국역본 훈민정음』은 단행본으로 간행되어 전해 내려오는 것이라는 박승빈본(朴勝彬本, 현재 고려대학교 육당문고 소장)이 알려져 있었으나, 정밀한 조사에 의하면 『월인석보』 책머리 부분을 따로 제책한 것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빠른 국역본은 1459년(세조 5)에 간행된 『월인석보』의 책머리에 실려 있는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이다. 그 원간본은 서강대학교 소장되어 있고, 1568년(선조 1)희방사(喜方寺)의 중간본도 전한다.

참고문헌

『국어표기법(國語表記法)의 역사적연구(歷史的硏究)』(이기문, 한국연구원, 1963)
『훈민정음통사(訓民正音通史)』(방종현, 일성당서점, 1946)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강신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