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권 2책. 목활자본. 1910년 아들 석로(奭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권말에 조병규(趙昺奎)와 석로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33수, 만(輓) 33수, 뇌사(誄辭) 1편, 권2에 서(書) 60편, 권3에 서(序) 6편, 기(記) 10편, 발(跋) 2편, 찬(贊) 1편, 상량문 1편, 축문 4편, 제문 14편, 권4에 묘갈명 6편, 행장 3편, 권5는 부록으로 아우 근만(根萬)의 가장, 손자 민세(民世)의 유사, 조긍섭(曺兢燮)의 행장, 장승택(張升澤)의 묘갈명, 노상직(盧相稷)의 묘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여행시가 많은데, 「강릉경포대」·「범어사」·「해인사」 등이 있다. 서(書) 가운데 스승 허전(許傳)에게 올린 「상성재허선생(上性齋許先生)」에서는 세상이 바뀌어 이단이 득세하고 유학이 침체되어 있다고 하나, 유림에서 일시에 상소하고 있으므로 유학의 도가 다시 밝혀질 것이라고 하여 척사위정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화산유계서(華山儒契序)」는 교유하는 인물들과 매년 2회 모여 강론과 독서를 하며 과실을 규찰하고 예속을 서로 교화하는 계를 만들기로 기약한 글이다.
그 밖에도 「상제집요서(喪祭輯要序)」 등의 글을 통하여 예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