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재잡록 ()

목차
관련 정보
희재잡록
희재잡록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의 문인, 윤형규의 시 · 서(書) · 설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윤형규의 시 · 서(書) · 설 · 논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불분권 6책. 필사본. 이 책은 저자가 연대순으로 편술한 그대로이다. 특별히 간행하기 위하여 편집하거나 필사한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 ≪희재잡록≫의 권두에 족제 심규(心圭)의 서문이 있다.

제1책은 시 235수, 제문 5편, 가승서(家乘序) 2편, 설(說) 5편, 희재잡록자서 1편, 상량문 1편, 잡록 2편, 서 5편, 제(題)·논(論)·명(銘)·행장 각 1편, 제2책은 시 255수, 서(序) 4편, 제 3편, 변(辨) 1편, 설 6편, 전 1편, 애사 2편, 찬(贊) 1편, 서(書) 7편, 녹(錄)·발(跋)·명·기(記) 각 1편, 제3책은 자서 1편, 시 141수, 서 5편, 제 2편, 축문 1편, 설 5편, 기 1편, 제문 2편, 상량문 1편, 발 3편, 송서(送序)·만록·단산기행(丹山紀行) 각 1편, 제4책은 기 2편, 시 57수, 발 1편, 뇌사 1편, 제5책은 시 124수, 설 4편, 기 1편, 서(書) 2편, 변의(辨義) 1편, 발 1편, 축문 2편, 잡록·장초(狀草)·제문 각 1편, 제6책은 시 96수, 묘갈명 1편, 발 2편, 설 4편, 서(序) 2편, 애사 1편, 장초 2편, 묘표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책은 저작연대별로 나누어져 있다.

≪희재잡록≫의 시 <한중즉사 閒中卽事>와 같이 전원생활의 한가한 서정을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3책의 말미와 4책의 초두에 중복 수록되어 있는 <단산기행>은 1764년(영조 40) 단양지방을 여행하면서 지은 글이다. <월산기행 月山紀行>은 1763년 영월지방을 여행하면서 지은 글이다.

≪희재잡록≫의 잡록은 ≪논어≫ 가운데서 언(言)과 어(語)에 관계된 내용을 명철(明哲)에 대한 경계는 침묵이 제일이라는 생각에서 뽑아 간추린 것이다.

≪희재잡록≫의 <문장설 文章說>은 저자의 문학관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문장이란 해박하게 알아 모든 것에 달통하는 것이지, 저술을 하고 못 하는 데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일반의 인식을 비판하고, 옛 것을 익힘과 동시에 자신의 저술을 지을 것을 주장하였다.

≪희재잡록≫의 <파자설 破字說>은 파자하여 길흉을 점친다는 속설에 대하여 허탄한 일이니 믿을만한 것이 못 된다고 하고, 중용(中庸)이라는 두 글자를 파자로 그 뜻을 풀이하였다.

≪희재잡록≫의 <다설 茶說>은 차는 고기를 먹고 사는 사람들이 마시는 것이지, 한유야사(寒儒野士)들이 마실 것이 못 됨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논한 글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