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소지역 ()

인문지리
개념
거주 인구의 절대적 감소에 따라 인구가 희박한 지역. 인구과소지역.
이칭
이칭
인구과소지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거주 인구의 절대적 감소에 따라 인구가 희박한 지역. 인구과소지역.
개설

일정 지역의 인구수가 생물학적 감소나 지리적 이동을 통하여 절대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인구의 재생산이 어려울 정도로 줄어들어 인구가 희박한 지역을 일컫는다.

연원 및 변천

산업화와 이를 수반한 도시화 과정에서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거주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과소지역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농어촌 인구가 도시로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대다수 농어촌 지역은 인구의 양적 측면에서 절대적 감소를 겪게 되며 인구의 충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음으로써 과소지역으로 전락하고 있다.

내용

어느 한 지역에서 인구수의 절대적 감소는 여러 가지 과정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일정기간 동안 한 지역의 사망자수가 출생자수를 초과할 경우에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과소(biological depopulation) 문제는 인구의 순유입을 통하여 인구 손실이 더 이상 보충되지 않을 때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생물학적 과소는 희귀한 현상이다.

과소 문제는 대체로 인구유출(outmigration)로 인하여 발생한다. 특히 농어촌 지역에서 노동력에 대한 수요와 일자리가 크게 감소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용 기회를 찾아 도시로 이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농어촌 지역의 연령 및 성별 구조가 왜곡된다. 그러므로 인구의 자연 증가율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인구수가 절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며, 이는 농어촌 지역에서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수요 위축을 초래하며, 결국 농어촌 지역에서 고용기회의 축소로 다시금 이어지는 악순환 과정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거주지로서 농어촌 지역의 매력이 크게 떨어져 인구의 유입이 더 이상 이뤄지지 않을 때 과소지역은 광범위하게 나타나게 된다.

현황

과소지역은 선진 산업 국가들이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지난 한 세기 반의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영국의 경우에는 산업화 이후 (대)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부터 서서히 발생하기 시작하여 1950~60년대에 절정기를 맞이하였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고도 경제 성장기인 1960~80년대에 대부분의 농어촌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60년대 말부터 급격한 인구 유출로 인하여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과소지역이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대도시와의 거리 및 교통 여건․촌락의 규모․주요 산업구조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오늘날까지 농어촌 지역은 물론이고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과소지역이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과소지역은 외국의 예와 마찬가지로 인구의 재생산 잠재력이 크게 떨어져 사회 성원의 충원이 어렵고 고령화 및 초고령화 사회에 조기에 진입함으로써 지역의 활력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나아가 과소지역은 인구감소로 인한 사회 기능이 점차 마비되고 주거․교육․보건의료 등 기초생활 서비스의 유지도 어려울 정도로 정체 및 낙후 문제에 직면하고 있기도 하다.

의의와 평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에서 과소지역의 발생은 필연적일 수 있으나, 농어촌 지역의 인구가 너무 급속히 도시로 유출됨에 따라 지역 인구의 절대적 감소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사회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과소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구 유출을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국가적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ural Geography : An Introductory Survey(Clout, Hugh D., Pergamon Press, 1972)
An Introduction to Rural Geography (Gilg, A. W., Edward Arnold, 1985)
Die Siedlungen des landlichen Raumes(Lienau, C., Westermann, 199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