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광주광역시 광산구청
인문지리
지명/행정지명ˑ마을
광주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구.
정의
광주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구.
개관

동쪽으로 서구와 북구, 서쪽으로 함평군, 남쪽으로 나주시와 남구, 북쪽으로 장성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51'~126°38', 북위 35°04'~35°14'에 위치한다. 광주광역시의 5개 구 중 가장 넓은 지역을 차지하는 구로서 면적은 222.90㎢이고, 인구는 405,315명(2019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21개 행정동(79개 법정동)이 있다. 구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다.

자연환경

광산구의 서북부 지역은 용진산(349m)을 비롯한 저산지대이고 서남부 지역은 복룡산(227m)이 있어 장성군 및 함평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나 산악지대라기 보다는 구릉지 사이로 넓지 않은 군소평야지를 형성하고 있다.

황룡강을 따라 남부지역으로 내려가면 강 양편에 넓은 평야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이 평야지대가 광산구의 중심부를 차지하고 있다. 동부 중앙지대를 흐르고 있는 영산강은 물 흐름이 완만하여 유역이 비옥하고 넓은 평야가 형성되어 신흥동, 동곡 일대의 서석평야가 나주평야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광산구는 표고 100m 이내의 구릉지와 평야가 전체 면적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사 15°이하의 면적이 79.2%를 차지하고 있다.

황해 연안을 흐르는 제주해류(황해해류) 및 남서쪽에서 이동해 오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온난하고 강수량이 많으며, 전남평야와 남령산지의 경계지대에 위치하므로 양 지역의 점이형(漸移型) 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은 13.6℃이며, 1월 평균기온은 0.0℃, 8월 평균기온은 26.1℃로 연교차(年較差)는 26.2℃이다. 강수량은 연중총량 1,289㎜로 3∼5월에 18%, 6∼9월에 59%의 비가 내리며, 연강수 일수는 133일 정도이다.

바람은 북서풍과 서풍이 많으며, 여름철에는 남동쪽을 가로막고 있는 무등산지의 영향으로 남풍과 서풍이 많고, 계절풍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는 북서계절풍, 여름에는 남서계절풍이 분다.

역사

청동기시대 유물이 영산강 상류인 극락강, 대촌천 강변의 구릉지대에서 출토되고, 청동기시대의 유적인 지석묘가 용두동, 압촌동 일대에 상당히 많은 수의 분포를 보이고 있고 신창동에서도 옹관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뿐만 아니라 그 이전에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마한시대에는 토착 농경사회가 형성되었고 54개국의 소국들이 합쳐져 강력한 부족국가를 이루었다고 『위서』와 『후한서』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광산구는 전남지방에 위치한 구사오차국(臼斯烏且國)과 불미지국(不彌支國)에 속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의하면 백제의 군현은 모두 147개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전남지역의 군현은 백제의 중·동·서·남·북 오방의 하나인 남방 구화하성(久和下城)에 속하였다. 이때의 광산지역은 무진주(武珍州, 일명 노구)이며 직할 3현을 통치하였다. 무진주는 757년(경덕앙 16) 무주(武州)로 개칭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무주는 근처 3현의 현웅현(玄雄縣), 용산현(龍山縣), 군양현(郡陽縣)을 직할하였고, 15군 43현을 관할하는 전남지역의 행정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후백제의 영토였다가 멸망한 두 고려에 복속되어, 940년(태조 23)에 광주로 확정되었다.

1412년(태종 12) 10월 도명 개칭과 아울러 읍호도 개칭하였다. 즉 종2품 벼슬인 부윤의 임지와 정3품 벼슬의 임지인 목 이외의 고을에서는 주자 사용을 금함에 따라 도호부 이하 군현은 산(山), 천(川)의 두 글자로 대체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은 광산으로 개칭되었다. 뚜렷한 행정구역의 확정은 1895년(고종 32)에 이르러 14면 43동리로 구획되어 광주군이라 칭하였다.

행정구역 변경으로 15면으로 되었으며, 1935년 10월 광주군의 일부였던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됨에 따라 광주군이 광산군으로 개칭되었고, 1937년 7월 1일에 조선총독부령으로 송정면이 송정읍으로 승격되었다.

1949년 8월에 광주시 대의동에 있는 군청사를 송정읍으로 이전했고 동시에 나주군 구역이던 평동, 삼도, 본량의 3개 면이 광산군에 편입되었다. 1955년 7월 1일 효지, 석곡, 극락, 서방의 4개 면이 광주시로 편입되었고, 1957년 11월 6일 지산, 대촌, 서창면이 광주시로 편입되면서 행정구역이 대폭 축소되었다. 1963년 1월 1일자로 광주시에 편입되었던 대촌면, 서창면이 다시 광산군에 환원되었다.

1986년 11월 1일 송정읍이 송정시로 승격되면서 종전의 광산군이 송정시와 광산군으로 분리되었다. 1988년 1월 1일 전라남도 송정시와 광산군이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면서 그해 5월 1일자로 자치구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993년 12월 1일 하남출장소의 관할인 월곡동이 분동되었고, 1995년 3월 1일 다시 월곡 1동과 월곡 2동으로 분동되었다. 1995년 4월 20일 서창출장소와 대촌출장소가 각각 서구와 남구로 편입되어 행정구역이 대폭 축소되었으며, 행정운영동도 7개 출장소와 10개 동으로 감소되었다.

1997년 7월 1일 비아출장소를 신가동과 비아동으로 분동하고 첨단지소를 설치하였으며, 1998년 10월 15일 출장소를 동으로 전환하고 송정 2동과 송정 3동을 송정 2동으로, 용운동과 소촌동을 어룡동으로 통폐합하였으며, 2002년 3월 25일 비아동이 비아동과 첨단동으로 분동되고 2003년 6월 30일 신가동이 신가동과 운남동, 첨단동이 첨단 1동과 첨단 2동으로 분동되어 행정구역은 19개 동으로 변모되었다.

유물·유적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는신룡동오층석탑(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86년 지정), 취병조형유허비(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90년 지정), 고봉문집목판(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1992년 지정) 등이 있다.

그리고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로는 광산농악(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1992년 지정) 등이 있다.

광주광역시 기념물은 양송천묘역 (광주광역시 기념물, 1978년 지정), 빙월당(광주광역시 기념물, 1979년 지정), 양씨삼강문(광주광역시 기념물, 1985년 지정), 용아생가(광주광역시 기념물, 1986년 지정), 월계동장고분(광주광역시 기념물, 1994년 지정), 명화동장고분(광주광역시 기념물, 1995년 지정) 등이 있다.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는 무량서원(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풍영정(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4년 지정), 용진정사(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5년 지정), 고내상성지(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1989년 지정) 등이 있다.

교육·문화

교육기관으로는 2015년 현재 초등학교 45개교, 중학교 26개교, 고등학교 16개교, 특수학교 1개교, 광주보건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 호남대학교가 있다. 공공도서관은 송정도서관과 광산구립도서관이 있다.

의료시설은 종합병원 4개, 병원 6개, 의원 125개, 특수병원 1개, 요양병원 2개, 치과병(의)원 73개, 한의원 45개, 부속의원 3개, 보건소 1개, 보건진료소 7개가 있다. 사회복지시설은 5개가 있는데 아동복지시설은 용진육아원 1개, 장애인복지시설은 광주인화원, 백선바오로의 집, 로렌시아의 집, 보람의 집 등 4개이다. 청소년수련시설은 광산구청소년수련관과 유스호스텔이 있다. 체육시설은 종합체육시설 2개, 테니스장 1개, 골프연습장 12개, 볼링장 3개, 체육도장 47개이다.

문화공간인 공연시설은 공공공연장 2개, 영화상영관 2개가 있으며, 지역 문화 복지시설은 구민회관 1개, 복지회관 2개, 청소년회관 1개가 있고, 기타 시설은 문화원 1개가 있다.

민속

광산구의 민속놀이는 재래적인 농경사회를 기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농한기인 정월 내지 이월에 집중되어 있고 농사일의 단계마다 놀이와 의식이 펼쳐지는 순환적인 주기를 가지고 있다. 산업사회로 전환되면서 전통사회의 질서는 급격히 재편되어 각종 명절일이 소멸되어 세시풍속이 사라져가고 있다. 1970년대 보급되기 시작한 농기구의 기계화와 농약의 발달, 그리고 과학영농의 보급은 농촌의 공동 작업을 줄이고 많은 세시풍속을 소멸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다.

농촌인구의 감소는 농악대의 구성이 불가능하여 정초의 당산제나 마당밟이를 할 수 없게 되고 줄다리기, 고싸움, 나무쇠싸움, 동채싸움, 횃불싸움과 같은 대규모로 행해지는 남성들의 집단놀이는 사라졌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민속놀이는 각종 체육대회 때 행해지는 줄다리기, 농악 등과 윷놀이, 장기 등에 불과하다.

설화·민요

광산구는 그 넓이만큼 설화가 대단히 풍부하다. 자연물에 대한 설화로 어등산, 무네미재, 용진산, 달마산, 둠벙(못)과 운남리, 보화촌, 금동마을 등 마을 유래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인물에 대한 전설은 오자치 장군, 박눌재, 금동마을과 삼형제, 양한림 등이 있다. 그리고 신거무장과 관련한 전설 등 많은 전설들이 남아 있다.

산업·교통

광산구에는 광주의 대표적인 산업단지들이 있어 광주 지역 생산도시화의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1983년 5월 준공된 소촌공단은 189㎢로 음식료품, 섬유의복, 석유화학, 비금속광물, 1차 금속, 조립금속, 보관, 창고, 운송 등 57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1988년 12월 준공된 소촌농공단지는 324㎡로 음식료품, 섬유의복, 석유화학, 비금속광물, 1차 금속, 조립금속, 보관, 창고, 운송 등의 47개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하남공단은 지역산업의 구조조정을 위해 IBRD 차관을 도입하여 조성된 산업단지로 5,967㎢의 규모로 1983년에 1차 단지, 1989년에 2차 단지, 그리고 1991년에 3차 단지의 조성공사가 완료되었다. 1차 단지는 금속·화학·음식품 등 142개 업체가 있고, 2차 단지는 조립금속·화학 등 231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3차 단지는 조립금속·식품·화학 등 304개 업체가 가동 중에 있다.

평동공단 1차 단지는 2,044㎢에 1995년 조성공사를 완료해 음식물, 목재·종이, 석유·화학, 비금속, 1차 금속, 조립금속, 전기전자 등 247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평동외국인기업전용공단은 1995년 8월 1,233㎢를 준공해 음식물, 석유·화학, 목재·종이, 비금속, 기계, 전기·전자, 운송장비 업종의 56개 업체가 입주해 있다. 첨단산업단지는 총용지 면적 240만 평 중 산업용지는 51만 8000평으로 석유화학, 기계, 전기·전자, 운송장비 등의 201개 업체가 입주하여 152개 업체가 가동 중에 있다.

교통으로는 국도 13호선이 나주와 담양을 연결하고, 영광과 화순을 연결하는 22호선이 통과하며, 호남선이 통과한다. 전라남도 무안군과 광주광역시를 연결하는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광산구를 종점으로 하고 있다. 또한 광주송정역이 있어 서울과 목포를 연결하고 있고, 광주공항을 통하여 김포와 제주로 가는 정기노선이 있다. 2008년에 광주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광주 도심과도 매우 편리하게 연결되었다.

관광

광산구의 관광자원은 산과 강, 공원, 유원지 등이 있다. 산은 무등산에서 이어지는 산 능선이 계속해서 낮아져 높고 큰 산은 없지만, 나지막한 산들이 있어 가볍게 등산하는데 아주 좋은 곳이다. 광산구에 위치한 산은 용진산, 어등산이 대표적이다. 용진산(349m)은 본량동과 임곡동을 나누는 경계에 있는 산으로 계곡과 폭포가 있고, 주봉인 석봉은 큰 바위로 이루어져 있으며, 토봉은 그와 반대로 짙푸른 숲으로 되어 있어 대조적이다. 어등산은 광산구 행정의 중심지인 송정의 진산(鎭山)으로 광산구를 상징하는 산이다.

쌍암공원과 월곡공원, 송정공원이 있고 유원지는 송산유원지, 임곡교주변유원지가 있다. 송산유원지는 황룡강 가운데 떠 있는 섬 유원지로 섬 전체가 공원이다. 1만 2000평의 잔디광장, 산책로, 야외물놀이 공간, 수생식물원, 야외캠프장, 야생화단지 등이 있어 광주시민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그 외 가볼만한 곳으로 풍영정이 있는데, 이곳은 조선시대 명종 때 김안거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와 노후를 보내기 위해 지은 정자로 들녘에서는 보기 드문 아름다운 정자이다. 송정 5일장은 3, 8장으로 한창 번성하던 옛 시장 같지 않지만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장소이다.

동(洞
  1. 송정 1동(松汀 1洞)

1397년(태조 6)에 축성된 전라도 병영, 곧 내상성이 있었고 조선시대 후기에 고내상면 고상, 용보리와 소지면 송정리였으며, 1914년 4월1일 송정, 월촌, 신덕, 선암, 신촌 마을을 합병하여 송정면 관할이 되었다. 1935년 10월 1일 광산군 송정면 송정리가 되었고, 1937년 7월 1일 광산군 송정읍 송정리로, 1986년 11월 1일 송정읍이 송정시로 승격하여 원동(元洞)으로 바뀌었다. 1988년 5월 1일 원동에서 송정 1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송정 1동은 송정권 발전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최근에 아파트, 상가 등 신축으로 유입 인구는 증가하고 있으나 주요 도로변을 제외한 인근지역은 도시기반시설이 취약한 상태이다.

  1. 송정 2동(松汀 2洞)

조선시대 광산군 고내상면에 속하였고, 1937년에 송정읍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에 송정시로 승격됨에 따라 중앙동으로 신설되었다가 1989년 3월 12일에 송정 2동으로 개칭되었고 1998년 10월 15일에 송정 3동을 통합하였다.

송정 2동은 광산구청 등 과거 광산군의 중심지로 행정, 상업,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광산구청, 광산구 선거관리위원회, 광주송정역, 보훈회관 등이 있다.

  1. 도산동(道山洞)

조선 후기 광주군 고내상면에 속했고,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고내상면 일부와 동각면 일부가 합쳐서 송정면 관할의 도산리가 되었다. 1988년 광산구 도산동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산동은 황룡강의 범람으로 형성된 충적지로 각조 채소 재배가 성하다.

  1. 신흥동(新興洞)

조선 후기 광주군 고내상면 지역으로 신촌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신촌리와 도호리가 신설되어 송정면 관할이 되었다. 1986년 송정읍이 송정시로 승격되면서 신촌동과 도호동을 합쳐 신흥동이 되었다. 신흥동은 광주공항과 송정IC가 있어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1. 어룡동(魚龍洞)

조선 후기 광주군 소지면 지역이었다. 1914년 4월 1일 소지면 선계·소촌·상촌·신역·월촌·신덕리와 우산면 향약리 각 일부를 합해 소촌리가 신설되어 송정면 관할이 되었다. 1937년 송정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송정읍 소촌리가 되었고 1986년 소촌동이 되었다. 1998년 10월 15일 소촌동과 용운동이 통합하여 어룡동으로 개칭되었다.

광주광역시 공무원연수원, 송정도서관, 소촌공단 등이 있다.

  1. 우산동(牛山洞)

조선 후기에 독산면, 구한말에 우산면 지역이었고, 1914년 우산면 일부와 마지면 운림리 일부가 합해져 우산리가 되어 송정면 관할이 되었다. 1937년 송정읍 우산리가 되었고 1988년 광산구 우산동이 되었다.

1986년 택지개발로 대단위 아파트가 조성되어 인구가 집중하고 동의 중심지인 80m 광로가 도심권과 연계되고 광주공항과 호남고속도로와 연결이 용이하고 수출원예·화훼단지 등 도시근교농업이 발달하였다.

  1. 월곡동(月谷洞)

조선 후기 광주목 와곡면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와곡면과 우산면 일부를 합쳐 하남면 월곡리라 하였다. 1988년 광산구 한안출장소 월곡동이 되고 1993년 하남출장소에서 월곡동이 분동하였다. 1995년 3월 1일 월곡동이 월곡 1, 2동으로 분동하였다.

  1. 비아동(飛鴉洞)

조선 후기에는 천곡·마지 2개 면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2개 면을 합하고 천곡면 관할 비아리의 이름을 따서 비아면이 되었다. 이때 비아면은 비아, 도촌, 쌍암, 월계, 산월, 수완, 신가, 신창, 운남리를 관할하였다. 1935년 광산군 비아면이 되었고, 1988년 광산구 비아출장소로 개칭되며, 신가지소가 설치되었다. 1997년 비아동 첨단지소가 만들어지고 동년 신창동, 신가동, 운남동을 분리하여 신가동으로 분동하면서 비아동사무소로 개칭되었다. 2002년 월계동, 쌍암동, 산월동, 비아동(동원촌)을 분리하여 첨단동을 분동하였다. 2005년 수완동 일부가 신가동과 신창동으로 편입되었다.

광주직할시에 편입되기까지는 미맥위주의 경종농업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과수, 채소재배도 성행되었으며 지금은 신가 주택단지 활동, 첨단단지 택지개발 등과 수완지구 택지개발 등 신흥개발지역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교통은 호남고속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경전선 철도가 지나고 국도 제13호선(나주~비아)의 기점이기도 한 교통의 요충지이다.

  1. 첨단 1동(尖端 1洞)

조선 후기에 광주목 천곡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천곡면과 마지면이 비아면으로 통합되었다. 1990년 7월 21일에 첨단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개발되기 시작하여 1995년 4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었다. 1997년 비아동 첨단지소가 개소되었으며, 2002년 3월 25일에 첨단동이 비아동에서 분동되었고, 2003년 6월 30일 첨단 1동으로 분동되었다.

광산구의 북동쪽에 위치하여 북구 건국동과 인접하며 호남고속국도를 중심으로 비아동과 경계를 이루고 있고, 국도 13호선의 기점이 있는 교통요충지다. 첨단 1동에는 쌍암공원, 응암공원 등 풍부하고 넉넉한 주민 휴식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광산구 청소년수련관과 첨단사회복지관, 첨단도서관이 개관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을 자랑하고 있다. 광주우편집중국, TBN광주교통방송국이 있다.

  1. 첨단 2동(尖端 2洞)

조선 후기에 광주목 천곡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천곡면과 마지면이 비아면으로 통합되었다. 1990년 7월 21일에 첨단산업기지 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개발되기 시작하여 1995년 4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었다. 첨단2동은 2003년 6월 30일에 비아동에서 분동되었다.

  1. 신가동(新佳洞)

조선 후기에 광주목 마지면 지역으로 1914년 마지면 신기·상가·대가·산정·금구·운림리를 합해 비아면 신가리라 하였다. 1985년 10월 광산구 비아면에 신가출장소를 설치하였고, 1995년 1월 1일 광산구 비아출장소 신가지소로 개칭되었으며, 1997년 7월 1일 신가동사무소가 신설되었다. 2003년 신가동이 신가동과 운남동으로 분동되었다. 관할 법정동은 신창, 신가, 운남동 일부이다.

1983년 광주시의 서민주택 해소대책으로 지어진 주택 밀집지역이고, 최근 신창지구 택지개발로 인구 및 행정수요가 증가하고 농촌지역이 있어 도농 간의 생활환경 격차가 나타나고 있는 지역이다.

  1. 운남동(雲南洞)

조선 후기 광주목 마지면 지역으로 운남촌이 있었다. 1914년 4월 1일 덕산면 서작리, 마지면 운림·금구·와곡면 월곡리, 우산면 동작리 각 일부를 합해 비아면 운남리라 하였다. 1988년 광산구 비아출장소 관할 운남동이 되었다. 2003년 6월 30일 신가동에서 운남동이 분동하였다. 운남동은 운남택지개발지구로 지정·개발되어 아파트촌이 되었다.

  1. 하남동(河南洞)

조선시대에는 광주군 흑석, 와곡, 거치면이었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광주군 하남면이 되었다. 1935년에 광산군 하남면으로, 1988년 광산구 하남출장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98년 10월 15일에 광산구 하남동이 되었다.

하남동은 광주의 대표적인 공단인 하남산업단지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으로 광주지역에서 산업생산이 가장 높은 지역이다. 주거지역보다는 공장지대가 많은 지역으로 환경문제에 관심을 많이 가져야 할 지역이다.

  1. 임곡동(林谷洞)

이 지역은 마한, 백제시대 수천현이라 불렸고, 조선시대인 1398년에 나주군 오산면에 속했다가 그 뒤 함평군 오산면으로, 그리고 1897년에 나주군 본량면에 편입되었다. 1912년에 광산군 임곡면이 되고 1983년 1월 10일에 박호리 전지역이 송정읍에 편입되었다. 1988년 1월 1일에 광주직할시 광산구 임곡출장소로, 1998년 10월 15일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 개칭으로 개칭되었다.

임곡동은 광산구의 북부에 있는 전형적인 농촌지역으로 농가가 82.4%를 차지하고 농경지가 전체 면적의 31.2%를 차지할 정도로 농업의 비중이 높은 동이다.

  1. 동곡동(東谷洞)

조선 후기 광주군 마곡면과 동각면 지역이었다. 1914년 통폐합으로 2개 면이 통합하여 동곡면이 되었고, 1988년 광주직할시 광산구로 편입되어 개동을 관할하는 동곡출장소로 개칭되었으며, 1998년 10월 15일 동곡동사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동의 중심부를 흐르는 황룡강 하류와 광주천 하류의 극락강 합류지점으로 비옥한 농토가 조성되어 대부분 쌀 생산 위주의 농업지역이며, 비닐하우스를 통한 특용작물 재배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는 지역이다.

  1. 평동(平洞)

백제 때 고마산현이었고, 757년 용산현으로 바뀌었으며, 940년 복룡현으로 다시 바뀌었다. 조선 후기에 나주목 평리와 관동의 2개 면이었고, 1914년 나주군 평리·관동면과 도림면 일부, 광주군 동각면 일부가 평동면으로 통합되었다. 1949년 8월 14일에 광산군 평동면이 되었고, 1988년 광산구 평동출장소로 개칭되었고 1998년 평동사무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평동은 황룡강을 따라 발달한 충적평야로 쌀농사와 대규모 낙농·원예단지로 조성되었고, 평동산업단지가 조성되어 광주의 산업생산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 삼도동(三道洞)

백제시대 임해현에 속해 있었으며 통일신라 때 현을 폐지하고 삼가, 도림으로 양분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병합되어 삼도면이 되었다. 1949년 나주군에서 광산군 관할로 편입되었고, 1988년 1월 1일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출장소로, 1998년 10월 15일 삼도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쌀농사 위주의 농촌지역으로 최근에 야산을 개간하여 가축사육 농가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추, 소채 등 시설원예와 수박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져 도시근교농촌의 모습을 하고 있다. 영광으로 이어지는 국도 22호선이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1. 본량동(本良洞)

백제시대에 수천현이었고 통일신라시대에는 여황현이라 하였으며, 구한말에 함평군에 속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나주군 본량면이 되었다. 1949년 광산군 본량면이 되었고,1988년 5월 1일 광산구 본량출장소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1월 1일 본량동으로 전환되었다.

광산구 관내 서북부에 자리하고 황룡강 맑은 물이 동남부를 관통하며 남쪽의 평림천을 따라 평야지대가 형성되어 전형적인 농촌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한국지리지』전라·제주편(국토지리정보원, 2004)
『광주의 재래시장』(광주민속박물관, 2001)
『광주·전남의 역사』(무등역사연구회, 2001)
『광주의 자랑』(광주광역시, 2001)
『광주역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8)
『광주의 민요』(광주민속박물관, 1999)
『광주시사』(광주광역시, 1997)
『광주시사』(광주광역시사편찬위원회, 1997)
『광주의 문화유적』(광주직할시, 1990)
『광주의 전설』(광주직할시, 1990)
『한국지명요람』(건설부국립지리원, 1983)
광산구(www.gwangsan.go.kr)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