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조선기술자협회 ()

정치·법제
단체
해방 이후 북한 산업시설의 가동에 필요한 기술자들이 부족하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기술자조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북한 산업시설의 가동에 필요한 기술자들이 부족하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든 기술자조직.
설립목적

해방 직후 북한당국은 일본인 기술자들이 떠나고, 노동자·사무원들을 내세워 산업 부흥과 생산능률 제고운동을 본격 추진하고자 했지만, 이러한 계획은 기술자의 절대 부족으로 실현되기 어려운 일이었다. 북한당국은 산업시설의 가동을 위해 기존 기술자의 동원 및 새로운 기술자 양산을 위한 별도의 조직이 필요할 수밖에 없었다.

연원 및 변천

해방 직후 일본인 기술자들이 본국으로 떠나버린 데다, 내국인 기술자들조차도 유산계급 출신이거나 일제에 복무하였다는 이유로 이들을 친일파·민족반역자로 취급하면서 국영공장과 기업소에서 내쫓기까지 하는 상황에서 정상적인 산업시설의 가동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기술자 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북한당국으로서는 기술자조직이 필요하였고, 결국 북조선기술자협회를 만들게 되었다.

1946년 8월 17일 임시인민위원회는 「기술자확보에 관한 결정서」를 채택하기에 이르렀고, 10월 16∼17일에는 ‘제1차 북조선과학기술인대회’를 열고, 건국사업 수행에서 기술자와 과학자들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는 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기능과 역할

해방과 함께 일본인 기술자가 떠난 상황에서, 북한지역의 산업시설의 가동이 어려울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술자들을 최대한 동원하고, 새로운 기술자들을 양산하는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황

초대 위원장은 이평제, 부위원장은 김우경이었다. 1948년 2월 1일 현재 회원의 수는 42,130명으로 집계되었다.

의의와 평가

북한은 해방 직후 산업 부흥과 생산능률 제고운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북조선기술자협회를 조직했지만, 숙련기술자들의 부족 현상은 근본적인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참고문헌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北朝鮮 社會主義體制 成立史)(1945·61)』(서동만, 선인, 2005)
『북한정치사연구(北韓政治史硏究)Ⅰ: 건당·건국·건군의 역사』(김광운, 선인,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