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노동자, 기술자, 사무원들의 자발적이며 혁명적인 대중적 정치조직이다. 해방 당시 서울에 조직을 두고 있던 전국적인 노동조합 연합조직인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에 상응하는 북한지역 만의 전국적 노동조합 조직으로서 1945년 11월 30일 창건되었다. 북조선직업총동맹 역시 분단 시기 모든 전국조직들이 남과 북에 각각 병행하여 분립했던 현상의 하나로 형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공산국가에서의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사회적·경제적 지위의 옹호 및 개선을 직접적인 목적으로 하는 임금노동자의 자발적 및 자주적인 조직체이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다른 공산주의 국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노동당의 보조부대 내지는 어용단체에 불과하다.
북조선직업총동맹은 1945년 11월 30일에 창립되었으며, 당시 맹원은 39만 900명이었다. 그러던 것이 1950년 12월 노동당중앙위원회 제3차 정기회의를 개최하고 남한의 「조선노동조합평의회와의 통합에 관한 결정」에 의해 1951년 1월 20일 소집된 ‘남·북 조선 직업총동맹연합회의’에서 북조선 직업동맹과 조선노동조합 전국평의회를 「조선직업총동맹」으로 통합·단일화 시켰는데, 당시 맹원은 59만 3,978명에 이르렀다. 10여 개 공업별 기구로 확대된 직맹원수는 1961년에 172만, 1968년에 200만, 1981년 말에 250만으로 추산되었다.
전노동자 및 사무원들의 총집결체로서 노동당의 정책을 실천하며 정권을 돕는 전위대로서 활동하였다. 형식상으로는 노동자, 사무원들의 조직체로 되어 있으나 사실은 노동당의 완전한 통제 하에 있었으며, 간부는 당에서 지명하여 직맹회의에서 형식적인 절차를 거쳐 선출되었으며, 그 사업은 당의 지시와 감독을 받았다. 또한 중앙기관은 물론 산업별직맹(9개), 직맹의 초급단계까지 지도부는 모두 당의 열성분자로 되어 있다.
당과의 관계도 「규약」 제1장 총칙에서 “직맹은 로동당의 옹호자이며 당의 영도 하에 모든 활동을 전개한다. 직맹은 로동계급의 통일과 단결을 강화하며 그들을 당주위에 결속시켜 당이 제기한 혁명임무 수행에도 조직동원한다……”라고 규정하였고, “직맹원은 로동당의 로선과 정책을 옹호하며 매 시간 당이 제시한 과업을 모범적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하여 노동자의 이익을 옹호하는 단체가 아니라 당의 정책을 직장을 통해 수행하는 기관에 불과하게 되어 있다.
때문에 겉으로는 전체 노동자들을 하나로 묶어세워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향상과 권익옹호를 위해 힘쓰는 대중적 근로단체임을 표방하면서 실질적으로는 당과 정권의 정책수행을 최첨단에서 조직·집행하는 당의 촉매적 어용단체라고 한마디로 집약할 수 있다.
북조선직업총동맹의 임무는 ① 노동자·기술자·사무원의 공산주의 교양, ② 맹원의 계급교양, ③ 기술·문화교양사업 실시, ④ 생산과제 수행에 노동자들의 조직동원과 생산능률 제고 및 노동규율 강화, ⑤ 노동보호사업의 조직집행, ⑥사회주의 경쟁운동(붉은기 쟁취운동 등)의 지도 등이다.
북조선직업총동맹은 북한 노동당의 전위적 역할을 하는 어용단체이며, 북한의 모든 노동자, 사무원들을 노동당의 통제 속에 몰아넣기 위한 권력통제기구였다. 북한 노동당이 내세우는 각종 정책은 누구보다 앞장서 맹원들에게 침투시키고, 그 정책을 집행하도록 강요하는 것이 주요임무로 되어 있었으며, 사회주의 경쟁 운동을 비롯한 모든 노동제도와 노동질서, 심지어 노동자·사무원들의 생활태도까지 일일이 간섭하는 무서운 감독기관이었다.
노동자와 사무원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노동급수 사정권, 휴양 휴가의 결정권, 작업반 배치권 등 노동평가에 대한 권한을 한 손에 쥐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와 사무원들은 권익보장을 주장하기에 앞서, 직맹의 명령에 절대 복종하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다. 북한의 직업동맹은 노동자, 사무원들의 권익 옹호를 위한 단체가 아니라 감시·통제·억압하는 권력기관이기 때문에 해방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단 한 건의 노동쟁의(勞動爭議)도 일으키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