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

목차
관련 정보
외교
개념
한국의 대중문화 요소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로 전파되어 인기리에 소비되는 문화현상.
정의
한국의 대중문화 요소가 아시아를 중심으로 해외로 전파되어 인기리에 소비되는 문화현상.
개설

1997년 무렵부터 문화 수출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정책을 배경으로 하여, 2000년 전후부터 한국의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에서 방송되자, 한국의 연예인이나 한국 문화 전반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을 타이완[臺灣]의 언론이 한류 열풍(Korean wave fever) 이라고 하였다. 그 후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이 용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 이 말은 한국에도 역수입되어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

내용

이 용어가 확대된 대표적 사례로 2002년도에 일본 NHK에서 방영된 한국드라마 ‘겨울연가’를 들 수 있다. 중국 이외에도 타이완, 홍콩 등지에서 한국 연예인은 최고의 대우를 받을 정도로 한국의 영상 · 음악 등이 커다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겨울연가’의 촬영지는 하나의 관광명소가 되기도 하였으며, 한국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도 되어 한일교류에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한류가 확대된 사회적 배경으로는 아시아의 대표문화로 상징되었던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되면서 그 중심에 있던 영화산업이 할리우드로 넘어감에 따른 문화적 기능 상실과 이를 대체할 문화의 부재로 들을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 내부에서 한류 열풍은 국민적 자존심과 자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한류 열풍으로 인한 한국 영화, 드라마, 게임 산업 등의 활발한 수출은 더 이상 한류가 문화적 유행에 그치지 않고, 국가적 위상 전환의 기회로 삼아질 수 있음을 점차적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정부 차원에서 이를 지원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되기 시작했다.

노무현 정부는 12대 핵심 국정 과제 중 하나로 문화산업 강국의 실현을 내걸었으며, 헐리우드를 본 뜬 ‘한류우드’를 조성하려는 움직임이나 인천 송도 단지, 상암동 DMC(Digital Media City), 부산 센텀시티 등에 디지털 콘텐츠 산업 클러스터를 만들려는 계획도 이러한 정부 계획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한류는 1980년대 홍콩류, 1990년대 일본류에 이어 한국의 문화적 매력을 동아시아권 내에 발산하는 시대적 조류로 등장했지만 홍콩류와 일본류가 그러했듯 한류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그 영향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타나고 있기도 하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이 주관한 ‘2016-2017 글로벌한류실태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 미주 · 유럽 · 중동의 주요 국가에서 ‘한류 콘텐츠 소비가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감소로 돌아섰다. 15개국 7200명이 참가한 이번 조사에서 인기 있는 한국 문화콘텐츠는 한식, 패션뷰티, K-Pop 순이었다.

참고문헌

『한류본색』(매일경제 한류본색 프로젝트팀, 매경출판, 2012)
「한류의 지속 방안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박기수, 『인문콘텐츠』제6호, 2005)
문화체육관광부(www.mcst.go.kr)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