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92년(선조 25) 발발한 임진왜란 당시 제2차 진주성전투(1593년)에서 성이 함락되어 7만의 군 · 관 · 민이 순절하자, 진주 남강의 의암에서 왜장을 껴안고 강물에 투신하여 순국한 논개(論介, ?∼1593)의 사적을 기록한 비이다. 현재 진주시 본성동 진주성 내에 있으며, 2000년 1월 3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논개에 관한 이야기는 임진왜란 후 진주민들의 입으로 전해지다가 1620년(광해군 12)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지은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려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당시 진주지역 사민들은 진주성이 함락된 날에 남강변에 제단을 마련하여 논개의 혼을 달래는 한편, 논개의 의로운 사적을 인정해 줄 것을 국가에 요구하였다. 그러한 과정 속에서 논개의 사적을 잊지 않기 위하여 1722년(경종 2) 진주의 선비 명암(明庵) 정식(鄭軾, 1683∼1746)이 『어우야담』의 기록을 바탕으로 지은 비문을 내용으로 담아 이 사적비를 세웠다. 이후 1741년(영조 17) 경상우병사 남덕하(南德夏, 1688∼1742)가 왕의 특명을 받아 비각을 세우고 ‘義妓論介之門(의기논개지문)’이라는 현판을 달았다.
비석의 높이는 145㎝이며, 너비는 60㎝, 두께는 15㎝이다.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홀로 가파르게 우뚝 선 바위에 그녀가 서 있구나. 그녀가 이 바위 아니었다면 어찌 죽을 곳을 얻고, 이 바위 그녀가 아니었다면 어찌 의로움을 들었겠는가. 남강에 높은 바위 만고에 꽃다운 정절이로다.(獨峭其巖 特立其女 女非斯巖 焉得死所 巖非斯女 焉得義聲 一江高巖 萬古芳貞)” 이 비는 진주성 내에 위치하며 아래의 남강 의암과 마주하고 있어 논개의 순국정신을 더욱 흠모케 하고 있다.
이 사적비는 금석자료로서 임진왜란 당시의 진주성 모습과 논개의 순국 정신을 일깨워주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