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8년에 일본인 후지다 료사쿠〔藤田亮策〕가 동서 25m, 남북 8m 범위 안에 분포한 52기의 돌널무덤을 조사하였고, 1949년 이후에는 연변조선족자치주 박물관이 여러 차례 지표 조사하였다. 무덤들은 연길시에서 동북쪽으로 24㎞ 정도 떨어진 소영향 소영촌의 해발 100m 정도된 북산의 남쪽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 1.5㎞에는 성자산(城子山) 서쪽 경사면이 있고, 남쪽에는 포이합통하(布爾哈通河) 강가의 충적 평원이 있다. 돌널무덤은 동서 100m 가량의 범위 안에 수백 기가 분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식으로 보고된 것은 후지다 료사쿠가 조사한 52기 뿐이다.
무덤은 대체로 동서로 긴 모습인데, 딸린 덧널 없이 돌널을 쌓거나 막돌을 쌓은 구조이다. 특히 돌널을 상하 좌우로 잇대어 축조해 놓은 것이 적지 않다. 돌널의 덮개돌은 전형적인 돌널무덤처럼 여러 장을 돌널에 걸쳐 놓은 것도 있지만, 막돌을 쌓아 놓은 돌무지 모습의 것도 적지 않은데, 돌무지의 높이는 대체로 1m 가량 정도된다. 이밖에 석회 암반을 구덩이처럼 판 뒤 무덤 구덩이 가운데 한쪽을 별도의 시설을 더하지 않은 상태에서 돌널의 한쪽 벽으로 활용한 것도 있다. 돌널의 규모는 대개 길이 1.5∼1.6m, 너비 0.4∼0.5m, 높이 0.25∼0.3m이며, 30호 돌널무덤처럼 최대 길이 2.25m, 너비 0.5m, 높이 0.3m 되는 것도 있다.
장식은 머리 방향 동쪽에 곧게 바로 펴 묻기〔仰身直肢〕가 일반적이지만 굽혀 묻기〔屈肢葬〕도 얼마간 있다. 매장된 사람 수는 한 사람을 묻은 단인장(單人葬)이 대부분이다. 다만 여러 사람을 합해 묻은 합장(合葬)도 적지 않은데, 2인이 보편적이지만 3∼4인을 합장한 무덤도 확인되었다. 합장의 대상과 방식은 성인이 합장된 예도 있으나, 모자(母子) 각 1인이 합장된 예도 적지 않다. 모자 합장은 같은 돌널 안에 하는 경우와 발치 쪽에 작은 돌널을 덧대어 하는 경우로 나뉜다.
출토 유물로는 돌을 떼거나 갈아서 만든 도끼, 창, 화살촉, 가락바퀴, 환상석기, 흑요석기 등이 있고, 뼈로 만든 단검, 찌르개, 창머리, 침, 침통, 비녀, 화살촉, 새기개, 돼지이빨 장식 등이 있다. 또한 항아리, 바리, 가락바퀴 등의 토기와 옥으로 만든 고리, 귀걸이 장식, 대롱 등도 확인되었으며, 그밖에 조개 고리와 조개 장식 등도 있다.
해란강(海蘭江)∼알하하(嘎呀河)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연변조선족자치주에는 땅 위에 돌무지 또는 흙과 돌로 쌓은 저분구(低墳丘) 모습의 무덤들이 분포한다. 이것은 요녕(遼寧)∼길림 일대의 일반적인 무분구류(無墳丘類) 돌널무덤과는 뚜렷히 구별되며, 같은 지역의 돌널무덤과 공존하고 있는 돌무지 또는 흙과 돌로 쌓은 저분구 널무덤과는 맥락을 같이 한다. 즉, 지상에 분구가 시설되어 있다는 독특한 지역적 특징을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보이는 무덤군이 바로 소영자돌널무덤군이다. 따라서 이 일대를 요녕∼길림의 다른 구역과는 차별되는 특수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란강∼알하하 유역 돌널무덤의 특수성은 이 지역의 돌널무덤이 길림 일대의 돌널무덤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축조되었다는 것에서도 확인된다. 즉, 소영자 돌널무덤은 석기의 마제(磨製) 기술이 철저하지 못하고 다양한 종류의 흑요석기가 다량으로 부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기전 10세기 전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용정시(龍井市) 유정동(柳庭洞) 돌널무덤은 고식(古式)의 통처럼 생긴 깊은 바리 모양 토기〔深鉢形土器〕를 공반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역시 서기전 10세기 전후로 편년된다. 이와 함께 이들 돌널무덤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고려할 때, 해란강∼알하하 유역의 돌널무덤은 길림성 중부와는 다른 계통과 맥락을 통해 출현하게 된 것으로 파악된다.
소영자 돌널무덤군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일대 청동기문화의 성격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청동기문화는 동쪽의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와 돈화(敦化) 일대의 돈화권 청동기문화, 북쪽의 앵가령상층유형(鶯歌嶺上層類型) 등과 구별되는 독특한 지역적 유형을 보이는데, 이를 유정동 유적을 표지로 하여 유정동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무덤군은 옥저 선조의 문화 유형으로 인식되는 유정동유형의 이른 시기 표지 유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