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정 금곡만기 고분군 ( )

선사문화
유적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龍井市) 덕신향 금곡 댐 주변에 있는 청동기시대 움무덤 · 돌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龍井市) 덕신향 금곡 댐 주변에 있는 청동기시대 움무덤 · 돌널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고분군은 용정시 동쪽 28㎞에 있는 덕신향 금곡(金谷) 댐 주변 서쪽 산의 동쪽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여러 양식의 돌널무덤과 일부분에 돌을 사용한 움무덤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7∼1979년에 연변조선족자치주 박물관이 세 차례에 걸쳐 조사하였다.

내용

고분군의 북쪽 구릉에는 잘 알려진 금곡 신석기시대 유적이 자리하고 있고, 남쪽으로 500m 떨어진 구릉에는 금곡 만기 취락지가 위치해 있다. 무덤은 산 능선을 따라 남북 ‘일(一)’자형으로 모두 14기가 분포하는데, 무덤 사이의 간격은 가까운 것이 1∼2m, 먼 것은 7∼8m 정도이다. 장축 방향은 산 능선을 따라 대체로 동서향을 하고 있다. 조사 당시 무덤들은 대부분 파괴된 상태였는데, 14기 가운데 제1호, 제3호, 제4호, 제8호, 제9호 무덤 등 5기는 심하게 파괴되어 평면이 긴 네모꼴인 무덤 구덩이의 일부만이 남았다.

이 고분군에는 여러 양식의 무덤이 공존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돌널무덤과 함께 움무덤, 퇴화형 돌널무덤 등 세 가지 종류이다. 전형적인 돌널무덤은 모두 2기가 조사되었다. 제6호 무덤은 길이 2.2m, 너비 65㎝, 높이 5㎝의 규모로, 돌널로 쌓은 벽 위에 여러 장의 덮개돌을 덮고 딸린 덧널을 갖춘 구조이며, 제11호는 돌널로 쌓은 벽 위에 여러 장의 덮개돌을 덮었지만 딸린 덧널은 없다. 움무덤은 모두 7기인데, 제1호, 제5호, 제7호, 제8호, 제10호, 제12호, 제14호 등이며, 대체로 길이 1.9∼2.95m, 너비 60∼70㎝, 남은 높이 30∼45㎝의 규모이다. 퇴화형 돌널무덤은 제2호, 제3호, 제4호, 제13호 등 모두 4기가 조사되었다. 대체로 머리와 발치 쪽에 돌널과 막돌로 벽을 쌓았으며, 규모는 길이가 1.95∼2.7m, 너비가 55∼75㎝, 남은 깊이는 30∼50㎝ 정도이다.

한편 14기 무덤 가운데 제6호, 제8호, 제10호, 제11호, 제13호, 제14호 등 6기에서는 목재가 부식된 흔적이 확인되었는데, 목관·목곽의 장구(葬具)와는 다르다. 보존 상태가 그나마 좋은 9기의 무덤 가운데 제11호를 제외한 나머지 무덤은 3·4∼7·8인에서 최대 11인을 함께 묻은 다인(多人) 합장 무덤이다. 다만 하나의 무덤 안에서도 1차장(葬)된 것과 2차로 세골장(洗骨葬)된 것이 모두 확인되었고, 남녀노소 여러 사람이 일정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2∼3층으로 겹쳐져 첩장(疊葬)된 것도 있다. 무덤에는 적은 양의 유물이 함께 묻혔는데, 껴묻거리로는 도끼, 자귀, 창, 칼, 꺽창, 화살촉, 환상 석기 등 석기류 391점, 통 모양의 관, 고권족(高圈足) 대접 등 토기류 7점, 창, 송곳, 통 등 뼈로 만든 무기·공구류 6점, 단추 장식, 기타 장식 등 청동기 2점, 돼지이빨 장식, 터키석 대롱, 뼈 대롱, 조개 고리, 조개 구슬, 비취 귀걸이 장식, 이빨 구슬 등 여러 소재로 만든 장식품 140점 등이 확인되었다.

특징

이 고분군은 제6호 돌널무덤에서 출토된 목재의 탄소 연대가 3270±155년 전으로 측정되지만, 각 무덤의 유물 공반 정황으로 보아 조성된 때는 훨씬 늦은 시기로 판단된다. 즉, 찔개살, 돌창, 터키석 대롱, 환상석기, 얕은 바리 모양〔淺鉢形〕토기 등이 공반된 점에서 도문시(圖們市) 석현(石峴)의 돌무지움무덤〔積石土壙墓〕과 비슷한 단계를 보인다. 다만 석기를 간 작업이 보다 철저하게 진행되어 있다든지, 길림성 일대에서 다소 늦은 시기에 출토된 청동 단추 장식과 가늘고 긴 네모꼴 청동 드리개〔牌飾〕가 함께 묻혀 있다는 점에서, 이들 유적보다 한 시기 늦은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이 고분군은 서기전 7∼6세기에 형성된 유정동(柳庭洞)유형 고분군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고분군은 연변조선족자치주 일대 청동기문화의 성격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청동기문화는 동쪽의 서단산문화(西團山文化)와 돈화(敦化) 일대의 돈화권 청동기문화, 북쪽의 앵가령상층유형(鶯歌嶺上層類型) 등과 구별되는 독특한 지역적 유형을 이루고 있다. 이것은 용정시 유정동 유적을 표지로 하여 옥저 선조의 문화 유형으로 인식되는 유정동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 고분군은 연길시(延吉市) 소영자(小營子) 돌널무덤군과 함께 대표적인 유정동유형 유적이다.

참고문헌

『서단산문화와 길림 지역의 청동기문화』(오강원, 학연문화사, 2008)
「延吉德新金谷古墓葬淸理簡報」(延邊朝鮮族自治州博物館,『東北考古與歷史』1, 1982)
집필자
오강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