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오리회의는 1950년 1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자강도 만포시 별오리에서 진행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2기) 제3차 전원회의이다. 6?25전쟁 당시 후퇴를 거듭하던 북한군이 중국의 참전으로 진격을 개시하게 되면서, 전쟁 진행 과정을 평가한 회의이다. 김일성은 인천상륙작전에 의한 일시적 후퇴에 대해 남로당원들이 제대로 역할을 못했기 때문임을 역설했다. 이는 인천상륙작전 이후의 전면적 후퇴에 관한 책임을 박헌영과 남로당이 져야 된다는 것을 의미했다. 별오리회의는 1952년 벌어진 ‘남로당 간첩사건’의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6․25전쟁 당시 후퇴를 거듭하던 북한군이 중국의 참전으로 다시 진격을 개시하게 되면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들이 모여 전쟁 진행과정에 대해 평가한 회의이다. 이 회의에서는 전쟁의 승리를 위해 당의 규율을 강화하고, 선전선동사업을 강화하는 등 장기전에 대비한 당의 활동 방침이 논의 결정되었다.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0년 12월 21일 조선로동당은 제2기 제3차 중앙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이 시기는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으로 후퇴를 거듭하던 북한군이 중국의 도움으로 겨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던 때였다. 아직 조․중 국경지대의 피난지에 머물고 있던 조선로동당 중앙위원들이 자강도 만포시 별오리에 모여 전원회의를 개최한 것이다. 회의의 중심 내용은 전쟁의 현황에 대한 평가였다.
회의 첫날 김일성은 ‘현정세와 당면과업’이라는 보고를 통해 전쟁의 단계를 인민군 진격기, 인민군의 전략적 후퇴기, 중국인민지원군과 함께 다시 진격하는 시기의 세 계단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청소한 역사의 인민군이 전쟁을 통해 풍부한 경험을 쌓고, 진공할 줄도, 후퇴할 줄 도 아는 단련된 군대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전쟁과정의 오류에 대해서는 다음의 여덟 가지 이유를 제시하였다. 첫째, “미제국주의와 같은 강대한 적과 싸우는 조건에서 자기의 예비부대를 충분히 준비하지 못하였으며 많은 곤란이 있으리라는 것을 타산하지 못하고, 그것을 극복할 준비사업을 잘 하지 못”하였다. 둘째, “인민군대가 경험이 부족하며 그 간부들이 청소한 것만큼 일단 곤란에 부닥칠 때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조직성이 미약하리라는 것을 타산하지 못”하였다. 셋째, 부대의 규율이 약했다. 넷째, “적들의 유생력량을 철저히 소멸하지 못하고, 그저 적들의 력량을 분산시키거나 밀고만” 나간 결과, “다시 부대를 수습하여 반공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주었다. 다섯째, “우세한 공군과 해군, 륙군을 가진 적들을 반대하여 전투를 능란하게 진행할 줄” 몰랐다. 여섯째, “적후방에서 유격대활동이 매우 미약”하였다. 일곱째, “전선에 대한 후방공급사업이 잘 조직되지 못”하였다. 여덟째, “군대내 정치사업이 높은 수준에서 진행되지 못하였고 군인들을 혁명적인 애국주의사상으로 교양하는 사업이 부족”하였다.
김일성은 이 밖에도 전쟁 단계별 특징을 정리하고 전쟁과정에서 나타난 주요결함들에 대해서도 보고하였다. 한편으로 “1950년 6월 27일의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정’은 그 상임이사국인 쏘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참가없이 채택된 비법적 결정”이라고 주장하고, 미군이 압록강 경계에까지 이르러 중국을 직접 위협하였기 때문에 중국이 참전하게 된 것이라고 정당화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전쟁승리를 위한 당의 역할에 대해 미군범죄 사실의 폭로, ‘해방지역’의 질서확립과 경제복구 및 인민생활 안정, 당규율 강화, 선전선동사업 강화, 검열지도사업 강화, ‘미해방’지역의 당사업 강화, 일시적 강점지역의 ‘반동분자’들에 대한 신중한 취급 등을 제시하였다.
사흘 동안의 회의 끝에 김일성은 결론을 통해 ‘일시적 후퇴시기’에 나타난 결함들을 인정하면서도, 당사업의 성과를 내세웠다. 그리고 향후 전쟁승리를 위한 당과 당원들의 역할 제고를 강력히 주문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결정서 ‘남북 근로단체들의 통일에 대하여’가 채택되었다. 이 결정은 남북조직으로 분리되어 있던 각종 근로단체 즉, 직맹(직업총동맹), 민청(민주청년동맹), 여맹(민주여성동맹) 및 문화예술단체들을 하나의 조직으로 통합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통합사업은 당중앙 조직위원회와 근로단체 중앙기관의 당원들에게 위임되었다.
속칭 별오리 회의는 북한의 전쟁 중간 평가 회의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회의에서 김일성은 공식적으로 “적후방에서 유격대활동이 매우 미약”하였고, 이는 남로당원들이 제대로 역할하지 못하였기 때문임을 역설하였다. 이 같은 주장은 인천상륙작전 이후의 전면적 후퇴에 관한 책임을 박헌영과 남로당이 져야 된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1952년 벌어진 ‘남로당 간첩사건’의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남로당에 대한 비판은 남북 근로단체의 통합으로 이어졌고, 조선로동당 중앙이 직접 지도하는 체제가 만들어졌다. 한편 남한에서는 이 회의에서 김일성이 전쟁에서 후퇴하게 된 원인에 대해 언급하면서 예비전력 확보와 후방강화를 강조한 것을 중요시하는 시각이 나타났다. 김일성의 이 같은 언급에 기초하여 ‘전인민의 무장화’와 ‘전국토의 요새화’로 대표되는 4대 군사노선(1962년)이 채택되는데 밑바탕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예비병력 확충과 땅굴 조성의 원인으로 주장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