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포동 미사일 ( Missile)

정치·법제
물품
북한이 보유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이칭
이칭
백두산1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이 보유한 중․장거리 탄도미사일.
개설

북한은 1998년 8월 31일에 함경북도 무수단리에서 대포동 1호(북한은 ‘백두산 1호’라고 명명)를 발사하였다. 북한은 대포동 1호가 인공위성 ‘광명성 1호’의 발사용 로켓이었고 ‘광명성 1호’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지만, 미국은 1단 추진체는 함북 김책시에서 375㎞ 떨어진 동해상에, 2단 추진체는 일본 미사와(三澤)에서 북동쪽으로 580㎞ 떨어진 공해상에 각각 추락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특히 대포동 1호 발사는 김정일의 국방위원장 재추대를 축하하는 축포의 성격을 띠는 한편, 선군정치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되었다.

대포동 2호는 대포동 1호의 개량형이다. 대포동 2호의 최초 발사는 2006년 7월 5일에 있었는데, 40여초 동안 비행하다 북한 해안가에 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은 이를 ‘은하 1호’라고 명명하고 있다.

두 번째 대포동 2호의 발사는 2009년 4월 5일에 이루어졌는데, 북한은 ‘광명성 2호’를 탑재한 ‘은하 2호’라고 부르고 있다. 북한은 대포동 2호의 발사가 모두 성공한 것처럼 주장하지만,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한 술책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북한은 2012년 4월 13일 장거리 로켓 ‘은하 3호’를 발사했으나, 이 또한 186초 만에 추락하고 말았다. 북한도 실패를 인정했다.

연원 및 변천

북한은 1970년대 이후 자체적으로 미사일 개발 기술을 축적하기 시작했으며, 1980년대 들어와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 획득과 함께 미사일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었다. 특히 소련 붕괴 이후 북한은 구소련 미사일 기술자들로부터 기술을 전수받는 한편, 중국으로부터도 우주가속계, 고급 기계부품, 특수강 등을 지원받을 수 있었다.

대포동 미사일은 1994년 2월미국의 첩보위성이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옛 지명 명천군 대포동)에 소재한 대포동 미사일 센터 내의 연구시설에서 2단계 로켓 형태의 미사일 2기를 제작 중인 것을 탐지함으로써 처음으로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결국 북한은 장거리 탄도미사일(ICBM)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1998년 8월 31일에 대포동 1호, 2006년 7월 5일과 2009년 4월 5일에 대포동 2호를 발사할 수 있었으며, 2012년 4월 13일에는 장거리 로켓 ‘은하 3호’를 발사하기에 이른다.

구조 및 형태

대포동 1호의 총길이는 23.3m이고, 직경은 1단 로켓이 1.2m, 2단 로켓은 0.88m이며, 탄두 중량은 500㎏ 정도로 추정된다. 사거리는 2,500㎞ 정도로 보인다.

대포동 2호의 경우, 2006년 7월 5일에 발사한 로켓은 직경 2∼2.2m, 전장 29∼31m, 탄두 중량 1,000㎏, 총중량 60t가량이고, 2009년 4월 5일에 발사한 로켓은 1단의 직경과 길이가 각각 2.4m, 17.8m, 2단의 직경과 길이가 각각 1.3m, 10.8m이며, 3단을 포함한 총길이는 32m, 총중량은 70t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중량은 92톤, 탄두 중량은 1,000㎏ 내외로 추정된다. 대포동 2호의 사거리는 3,500∼6,700㎞로 추정된다.

제조 방법

대포동 1호는 2단 로켓으로 제조되었는데, 1단계 로켓은 로동 1호를, 2단계 로켓은 스커드-C 미사일을 각각 개조한 것으로 추측된다. 무게와 마찰열을 줄이기 위하여 몸체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1단계 및 2단계 추진체는 각각 액체연료를 사용했고, 탄두부에는 관성항법장치를 장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대포동 2호의 경우, 2006년 7월 5일에 발사한 로켓은 3단 추진체 모두 액체연료를 사용했고, 2009년 4월 5일에 발사한 로켓은 1, 2단은 액체연료를, 3단은 고체연료를 사용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참고문헌

『2010 국방백서』(국방부, 2010)
『연합뉴스』(2012.4.13)
『연합뉴스』(2009.4.5)
『연합뉴스』(2006.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