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동해선 철도 연결 (· )

경의·동해선철도연결
경의·동해선철도연결
정치·법제
사건
남북간 수송체계 확립의 일환으로 끊어진 경의선 철도와 동해선 철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것.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남북간 수송체계 확립의 일환으로 끊어진 경의선 철도와 동해선 철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것.
개설

분단이전에 남북을 잇는 철도는 경의선(서울∼신의주), 경원선(서울∼원산)이 있었다. 2000년 6·15공동선언 이후 남북교류협력 차원의 시험장소로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이 지정되었다. 금강산관광이 처음에는 해로를 이용하였으나 육로관광으로 발전되면서 동해선(제진∼금강산) 철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개성공단사업이 시행되면서 수송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경원선의 연결이 요청되었다.

역사적 배경

6·15공동선언 이후 남북간의 화해교류협력 분위기가 고조되어가는 과정에서 북측지역인 금강산과 개성을 남북이 공동으로 개발하자는 데 합의하였다. 이후 금강산관광지구법(2002년 11월 13일 채택)에 의해 금강산은 관광특구로, 개성공업지구법(2002년 11월 20일 채택)에 의해 개성은 공업특구로 지정되었는데, 두 지역 개발의 필수적인 요건으로 남북 간의 교통(통행)문제가 제기되었다.

경과

2000년 7월 제1차 남북장관급회담과 8월 제2차 장관급회담에서 경의선철도를 연결하기로 합의하였다. 그리고 2004년 4월 남북철도·도로연결실무협의회 제4차 회의에서 ‘남북사이의 열차운행에 관한 합의서’를 가서명하였고, 2005년 8월에 발효시켰다. 경의선은 2002년 12월 시설공사가 완료되었고, 동해선은 2005년 12월 대부분의 시설공사가 완료되었다. 2006년 시험운행을 실시하려고 하였으나 여러 사정으로 미루어져 오다가 2007년 5월 17일 시험운행을 실시하였다. 경의선은 문산역에서 개성역까지 우리측 열차가, 동해선은 금강산역에서 제진역으로 북한측 열차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운행되었다. 그리고 2007년 10·4남북정상회담 이후 경의선 문산∼봉동 구간에서 개성공단사업과 관련하여 화물열차를 정례적으로 운행하기로 합의하였다.

결과

2012년 현재 경의선에서는 문산∼봉동 구간에서 화물열차를 제한적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동해선은 시험운행 이후 진전이 없는 상태이다.

평가

경의·동해선 철도 연결은 남북교류협력 차원에서 교통분야의 인프라구축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역사적 사건이다.

참고문헌

『북한연감 2009』(연합뉴스, 2009)
『2009 통일백서』(통일부, 200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동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