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주성전투 ()

구성 구주성 전경
구성 구주성 전경
고려시대사
사건
고려 후기 몽고 제1차 침략(1231) 때 구주성(龜州城)에서 벌어진 전투.
정의
고려 후기 몽고 제1차 침략(1231) 때 구주성(龜州城)에서 벌어진 전투.
역사적 배경

구주(龜州)는 전통적으로 고려 북계 내륙의 요충지이며 전략적인 거점이었다. 그러므로 몽고군은 군대를 나눠 반드시 구주 지역을 선점하여 내륙로(內陸路)를 확보하려 하였다. 1231년(고종 18) 9월 몽고군의 한 부대가 구주성으로 침입해오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박서(朴犀)를 비롯하여 인근 지역의 지휘관들이 별초군(別抄軍)과 백성을 끌어 모아 구주성에 집결하여 일전을 준비하였다. 구주성전투는 1231년(고종 18) 9월부터 12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매우 치열하게 펼쳐졌다.

경과 및 결과

몽고군이 구주에 이른 것은 침략 개시 다음 달인 1231년(고종 18) 9월 3일이었다. 그들은 총사령관 사르타이〔撒禮塔〕의 명령을 받아 내륙로 확보를 위해 침투한 몽고군 한 부대였으며 9·10·11·12월 대략 4회에 걸쳐 대대적인 공성전(攻城戰)을 감행하였다. 이에 맞서 구주성의 지휘관인 서북면병마사 박서는 성안의 4면에 부대를 각각 나누어 배치하였다. 성의 동·서면은 삭주분도장군(朔州分道將軍) 김중온(金仲溫), 남면에는 정주분도장군(靜州分道將軍) 김경손(金慶孫), 그리고 안북부(安北府)와 위주(渭州)·태주(泰州)의 별초 250여 명이 또 3면으로 나뉘어졌다. 박서 자신은 전체를 통괄하면서 북쪽을 주로 담당하였다.

몽고군의 공격은 갖가지 공성법을 동원하여 1개월을 지속하였다. 누차(樓車)와 대상(臺床)을 만들어 이용하고 터널을 굴착하거나 기름으로 불을 질러 성을 공격하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성을 압박하였다. 구주성의 고려군은 끓는 철액(鐵液)을 부어 누차와 대상을 불태워버리고, 진흙에 물을 적셔 불을 진화하여 적의 공격을 분쇄하였다. 퇴각하였던 몽고군이 10월 중순 신서문의 요해처 28개소에 포차(砲車)를 나란히 설치, 구주성 서쪽을 포격하였다. 포격으로 성벽이 무너질 때마다 박서는 무너진 성곽을 곧바로 수축케 함으로써 방어전을 유지하였다. 몽고의 구주에 대한 3차 공격은 11월 중순에 재개되었지만 구주성에서 포차로 완강히 저항하여 실패로 끝났다.

몽고군은 치열한 공방전을 치르는 한편 구주성의 항복을 권유하였으나 박서는 항복을 거부하였다. 4차 공방전에 해당하는 12월 중순경의 전투에서 박서는 대우포(大于浦)로 적을 저지시킴으로써 여전히 구주는 난공불락이었다. 몽고의 한 백전노장이 “내가 어려서부터 종군하여 천하의 공방전을 여러 번 보았으나, 일찍이 이러한 맹렬한 공격에도 끝내 항복하지 않는 것은 처음 보았다”고 탄식할 정도였으며 종국적으로 고려 측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그러나 구주성은 1231년 12월 개경정부가 몽고 측과 강화를 체결하고 사신을 보내 투항할 것을 독촉하자 1232년 1월에 결국 성문을 열고 항복하였다.

의의와 평가

구주성전투는 초기 여몽전쟁에서 고려 측이 거둔 대표적인 전승 사례로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내륙로로 침투한 몽고군의 한 부대를 구주라는 요충지에 묶어놓아 그들의 남하를 저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몽고군 본진의 공격 속도를 늦추었다. 뿐만 아니라 안북부패전(安北府敗戰) 이후 고려가 수세에 몰리면서 몽고 측과 강화회담을 진행할 때도 고려 측이 내세울 수 있는 자부심으로 부각되었다.

구주성의 승첩으로 인하여 구주는 국가로부터 포상받아 정원대도호부(定遠大都護府)로 승격되었다.『동국통감(東國通鑑)』에 의하면 구주성전투의 승리는 우리나라 수성전(守城戰)에서 안시성전투 다음으로 빛나는 승전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동국통감(東國通鑑)』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강재광, 경인문화사, 2011)
『고려대몽항쟁사연구』(윤용혁, 일지사, 1991)
『대몽항쟁사』(유재성,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8)
「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쟁」(강진철,『한국사』7, 국사편찬위원회, 197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윤용혁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