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곡촌전투 ()

고려시대사
사건
고려 후기 제6차 몽고침입 말기(1259) 춘주도(春州道) 천곡촌(泉谷村)에서 벌어진 전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 제6차 몽고침입 말기(1259) 춘주도(春州道) 천곡촌(泉谷村)에서 벌어진 전투.
경과 및 결과

1259년(고종 46) 정월 강도(江都) 정부는 몽고군 원수부와 화평(和平)을 체결하기 위해 동계(東界)의 몽고병 주둔지에 사신 김기성(金器成)과 곽정유(郭貞有) 등을 파견하였다. 그런데 이들 고려 사신은 몽고병과 합세한 동계 반민(叛民)에 의해 살해당하고 말았다.

1259년 3월 몽고군에 사주된 동진국(東眞國) 군대가 등주(登州)와 화주(和州)의 반란한 고려 백성을 이끌고 춘주(春州) 천곡촌(泉谷村)에 이르자 신의군(神義軍) 병사 5명이 몽고군 원수 자랄타이〔車羅大〕의 사자인 것처럼 위장하고 그 진영에 들어갔다. 이들은 “고려 태자가 몽고에 입조하게 된 시점에 고려의 사자를 동계의 반민들이 살해하고 난동하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인가”하고 힐난하였다. 그리고 천곡촌에 이미 매복해 있었던 별초(別抄, 三別抄)를 불러들여 동진군(東眞軍)과 고려 반민을 포위 공격하여 섬멸하였다. 또한 강도 정부에서 보낸 국가 예물과 살해된 김기성 등 사신들의 유품을 회수해서 돌아왔다.

의의와 평가

삼별초를 중심으로 천곡촌전투에서 고려가 승리함으로써 1258년(고종 45)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를 계기로 동계 일대에서 확산되던 동계 지역민의 동요와 이반(離叛)을 저지하는 효과를 얻었다. 또한 1259년 4월 초로 태자 입조시기를 앞당기려고 고려조정을 압박하던 몽고 사신에 대응하여 김준 정권이 태자 입조시기를 몇 주 뒤로 미루면서 그들과 강화협상을 불리하지 않게 추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몽고침입에 대한 최씨정권의 외교적 대응』(강재광, 경인문화사, 2011)
『여몽전쟁과 강화도성 연구』(윤용혁, 혜안, 2011)
『고려대몽항쟁사연구』(윤용혁, 일지사, 1991)
『대몽항쟁사』(유재성,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8)
「고려 대몽항쟁기 도환인의 유형과 강도조정의 도환인 활용」(강재광, 『역사와현실』 83,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