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방산성은 황해북도 사리원시에 있는 정방산의 험한 산세를 이용하여 축성한 고려 시대의 석성이다. 북한 서해안 일대에서 남북으로 통하는 기본 통로를 막아선 황해도 지방의 으뜸가는 요새로 고려시대에 처음 축성한 뒤, 1632∼1635년에 크게 보수했으며 둘레는 12㎞이다. 정방루는 정방산성의 네 대문 중 가장 큰 문으로 정문에 해당된다. 북한에서는 정방루를 국가지정문화재국보급 제89호로 지정해 놓고 있다.
정방산성은 동, 서, 남, 북 사방에 성문을 냈는데 옛날에는 이 네 성문들 모두에 웅장하고 화려한 문루들이 세워져 있었다. 지금 남아있는 남문루(정방루)는 6·25 전쟁 때 폭격에 의하여 불타 버린 것을 원상 복구한 것이다. 성문의 축대는 따로 쌓지 않고 성벽을 좀 두껍게 하고 그 복판에 홍예문길을 뚫어 만들었다. 홍예문의 외벽은 다듬은 돌을 사용하고 통로 내부의 천장은 벽돌로 볼트천장을 형성하였다.
문루는 정면 3칸(13.85m), 측면 3칸(7.2m)의 홑처마 합각집이다. 문루에는 흘림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단익공식 두공을 얹었다. 중앙 칸에만 마루를 설치했으며 천정을 가설하지 않아 상부 구조가 그대로 노출된다. 다만 중앙 칸을 제외한 일부에만 우물천장을 가설하였다. 부재에는 모루단청을 입혀 치장하였다. 이 남문루, 즉 정방루의 구조상의 특징은 측면까지 3칸으로 하면서 규모를 크게 잡은 것이며 정면의 가운데 칸을 특별히 넓힌 것이다. 남문의 평면상 규모는 우리나라 단층문루 중 제일 큰 것들 중에 속하며 개성 남대문과 거의 비슷한 규모가 되고 있다.
고려 시대에 처음 축성된 이래 많은 변화가 있었으리라는 가정과 함께 중층 문루 건축에 익숙한 장인의 솜씨를 엿볼 수 있다.
『조선향토대백과』10(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6)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Ⅰ(조선유물유적도감편찬위원회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북한문화재 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