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성 ()

목차
건축
유적
북한 황해남도 청단군에 있는 고려시대 토축 성곽. 산성.
이칭
이칭
청단군, 화산리, 남웅현, 화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청단군에 있는 고려시대 토축 성곽. 산성.
내용

화산성은 고려시대에 처음 축성되어 남웅현이 있었다고 한다. 소재지마을 남쪽에 있는 언덕 능선을 따라 흙으로 축조되었는데 동, 서, 남, 북에 문터가 있다. 한편 ‘화산성’의 ‘화산’이라는 명칭의 유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옛날 이 성안에서 한 무사가 말을 타고 10리 정도 상거한 신생리 벌판의 알메산 목표물을 향해 화살을 날린 후 그곳으로 말을 타고 달렸는데, 목표물에 도착해서 열까지 셈을 센 다음에야 화살이 날아왔다. 이때부터 화살산이라 하다가 줄여서 화산이라 했다고 한다. 북한에서는 화산성을 국가지정문화재보존급 제251호로 지정해 놓고 있다.

참고 문헌

『조선향토대백과』9(한국 평화문제연구소 · 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6)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