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복사 칠층탑 ( )

목차
관련 정보
장풍 심복사 칠층탑 정측면
장풍 심복사 칠층탑 정측면
불교
유적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심복사터에 있는 7층 석조 불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장풍군 심복사터에 있는 7층 석조 불탑.
역사적 변천

심복사칠층탑은 황해북도 장풍군 덕적리용봉산 기슭의 심복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으로 현재 3단으로 쌓은 기단과 7층의 탑신만 남아있으며, 탑머리는 남아있지 않다. 탑의 높이는 3.53m이며, 중수 당시에 다른 탑의 부재를 섞어 사용해 원형이 변형된 상태로 남아있다. 탑신부에서 처마받침은 5단, 4단, 3단으로 각이하고, 옥개석의 처마선도 윗선만 들린 것과 위아래 다 들린 것이 섞여 있다.

심복사칠층탑은 서로 다른 탑의 부재가 뒤섞여 있어서 탑의 원형을 알 수 없으나 부분적으로 고려시대 탑의 특징들이 남아있다. 또한 고려시대 탑의 건립양식과 축조기술을 엿볼 수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북한의 보존급 제532호로 보존 ·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조선향토대백과』2(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유적유물도감』11(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편, 1992)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