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렬사터 (터)

불교
유적
북한 평안남도 안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당터.
이칭
이칭
칠불사터, 칠렬사지(七烈士址), 칠열사터(七烈士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안남도 안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당터.
역사적 변천

612년(영양왕 23) 수(隋)양제(煬帝)의 고구려 침입 때 살수에서 7명의 승려가 세운 공로를 기념하기 위해 안주성(安州城) 밖에 사당을 짓고 비를 세웠다. 처음에 사당은 칠불사(七佛寺)로 불렀는데, 후에 칠렬사로 개칭되었다.

내용

칠렬사는 평안남도 안주시의 서북쪽 강변에 있는 옛 사당이었다. 예부터 전해오는 이야기를 보면, 수군(隋軍)이 퇴각하면서 살수에 이르렀을 때 물이 깊어서 배 한 척 없이 건널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이 때 강변에 승려 7명이 홀연히 나타나더니 바지를 걷어 올리고 강을 건너기 시작하였다. 이 광경을 본 수군은 물이 얕은 줄 생각하고 다투어 건너다가 깊은 물에 빠져 익사했다고 한다. 그리고 수군이 강을 건너가다 죽은 곳을 오도탄(誤渡灘:잘못 건너간 여울)이라고 한다. 이 일을 계기로 칠불사(칠렬사)를 세우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칠렬사터는 고구려가 요동반도까지 진출했던 역사적 사실을 입증해 주는 문화유산으로서 북한의 국보급 제146호로 보존 · 관리되고 있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조선향토대백과』3·4(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북한문화재자료관(north.nricp.go.kr)
북한지역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