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 ( )

목차
관련 정보
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
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
서예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명필인 설정(雪汀) 조문수(曺文秀)가 1647년에 심수재(沈秀才)를 위해 쓴 서첩.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조문수 필적 위심수재서(曺文秀 筆蹟 爲沈秀才書)
분류
기록유산/서간류/서예/서예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0년 10월 25일 지정)
소재지
경기도 고양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명필인 설정(雪汀) 조문수(曺文秀)가 1647년에 심수재(沈秀才)를 위해 쓴 서첩.
내용

201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수록된 글씨는 세 가지인데, 북송 말~남송 초의 유학자 범준(范浚)의 「범씨심잠(范氏心箴)」을 쓴 해서, 당나라 두보(杜甫)의 칠언장시 「애강두(哀江頭)」를 쓴 행서, 그리고 두보의 칠언율시 3수를 작은 행초로 쓴 것이다. 말미에 그의 나이 58세인 “1647년(인조 25) 시월에 설정옹이 심수재를 위해 도성 서쪽 초옥에서 쓰다.”라고 적혀 있다. 당시 조문수는 1645년 9월에 개성유수(開城留守)로 나갔다가 1647년 4월 이후에 서울로 돌아왔고, 다시 1647년 10월 22일에 강원도관찰사가 되어 임지로 떠나 그해 12월 30일에 원주에서 사망하였다. 따라서 이 글씨는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기 직전의 필적이다.

조문수의 증손 조하망(曺夏望)이 지은 행장을 보면, “글씨에 일가를 이루었는데 본래 송설(松雪: 조맹부)을 좋아했으나 그 자태가 무미(嫵媚: 교태롭고 아리따움)한 것을 싫어하여 단지 뼈마디와 살집이 전하는 점만을 취하고 왕희지의 맑고 순진한 필의를 섞으니, 체격과 기운이 무르익고 순수하며 파임과 지게머리가 물 흐르는 듯하였다. 글씨 쓸 적에는 마치 바람과 비가 몰아치듯 크고 작은 해서와 초서가 각기 그 극진한 경지를 이루었다. 동시대의 남창(南窓: 김현성), 동회(東淮: 신익성), 분서(汾西: 박미) 같은 분들이 모두 송설을 순수하게 배웠는데, 그래서 서로 그를 위해 양보하며 ‘설정옹이 왕희지와 조맹부 사이를 절충한 것은 우리들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다’라고 찬미하였다.” 한다.

『위심수재서(爲沈秀才書)』는 바로 이러한 점을 잘 보여준다. 즉 「범씨심잠」은 단정한 짜임과 명료한 획법에서 왕희지를 따른 석봉(石峯) 한호(韓濩)의 『천자문』에 가깝고, 「애강두」 행서와 「두시칠율3수(杜詩七律三首)」 행초는 조맹부 글씨의 뼈대와 살집을 사용하되 교태로운 필의를 걷어내어 맑고 간명한 필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인조실록』에 실린 조문수의 졸기(卒記)에서 “사람됨이 겸손하고 화평하며 평온하고 조용했다”는 평에 수긍이 간다.

참고문헌

「증왕고공조참판하령군행장(曾王考工曹參判夏寧君行狀)」(조하망, 『서주집(西州集)』권10)
『우리나라의 옛글씨』조선후기 명필(문화재청, 2010)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